본문 바로가기

퀴즈풀이/히스토리아 역사 스토리

고대 사회에서의 <부체체론>

고대 사회에서의 <부체체론>

1. 부체제론과 귀족연합론

부체제론과 귀족연합론은 초기 삼국시대의 독자적 족장세력을 국가가 흡수하는 것에 대한 관점의 차이 논쟁입니다. 부체제론에서는 <독자적 독장 세력>에 논의의 초점을 맞추는데 비해, 귀족연합론은 <왕권에 신속된 귀족세력>이라는 것에 키워드를 맞추어 <중앙집권화 과정>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귀족연합론부터 볼까요?

귀족 연합론이란, 초기 국가의 형태가 <왕권 밑의 중앙귀족들이 귀족회의체를 구성하여 정치를 운영하는 정치 형태>에 주목하는 이론입니다. 이 이론에 따르면, 국왕과 귀족은 서로 권력에 있어서 주도권을 놓고 다투는 존재입니다. 삼국이 각 독자 세력들을 관등제도에 의해 편제하였지만, 과연 이 관등제도가 왕권과 귀족권 중에 어떤 부분에 초점이 맞추어 졌는가를 논의합니다.

일반적으로 논의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관등제도의 성립으로 지방 족장들이 왕권에 복속되어 <귀족 관료>가 되었습니다. 그러나, 귀족들이 관등제도에 복속함으로서 귀족들은 이제, 족장의 특권이 아닌 <관등에 의한 특권>을 항구적으로 누리게 되었습니다. 따라서 왕 밑에서 <행정적 관료>로 편재된 귀족들은 관등을 이용하여 <왕권>을 제약할 수 있게 됩니다. 이러한 귀족들의 특권은 <귀족회의>에 의해 체계화됩니다. 제가, 정사암, 화백 회의 등의 회의는 귀족권이 왕권을 거부할 수 있는 <귀족연합>의 무기인 것이죠. 이것이 귀족연합론입니다.

결과적으로 이 논의를 정리하면 이렇습니다. 국왕과 귀족간의 권력이 누구에게 있는가에 대한 논의로서, 그 쟁점을 왕권 밑에 관등제도로서 복속한 중앙귀족권이 귀족회의 등을 바탕으로 국정을 이끌어가는 체제입니다.

귀족연합론에서는 삼국사회의 발전과정을 이렇게 봅니다.

1. 소국의 단계 : 각 군장국가들이 존속하는 단계
   2. 귀족연합체제 : 왕권 밑에서 합의제적인 귀족회의로서 국정을 이끄는 단계
   3. 전제왕권체제 : 국왕이 1인적인 지배체제를 구축하고, 귀족세력보다 우위를 점하는 단계
   4. 귀족연립체제 : 국왕권이 약해지면서 지배층이 연합정권을 구축하는 각국 말기의 체제

이러한 단계를 거쳐 삼국사회가 진전되는데, 그 과정에 귀족연합체제를 중요하게 상정한 것이지요.

2. 부체제론

부체제론은 모건의 <부족국가론>을 계승한 형태의 논의입니다. 모건은 초기 사회의 발전 과정을 다음과 같이 정의하였습니다.

씨족사회 - 혈연중심의 부족국가 - 부족연맹체 국가 - 고대국가

모건은 특히 국가의 발전 단계에서 중요한 것은 혈연을 중심으로 하는 <사회체제>가 확장 발전하는 것이라고 말하였습니다. 고대 국가가 성립하는 과정은 곧 <씨족적 족장 세력>들이 각각 자신의 세력기반을 토대로 연합하면서 <연맹국가>를 형성하고, 이 연맹국가의 <부족세력>들이 중앙 세력에 <흡수>되면서 고대국가가 <중앙집권화>된다고 생각한 것입니다.

이 모건의 논의는 한국 고대사 뿐이니라 중국 등 다양한 국가의 고대사를 논의할 때 키워드로 작용합니다. 예로, 중국 역시 초기 부족들이 연합한 <읍제국가>체제에서 시작하여 <영역국가>로 발전하는 것을 체계화하여 고대사를 정리하는데, 이 모건의 정통적 입장이 활용되곤 합니다.

부체제론이란 씨족적 유풍을 가진 집단들이 국가체제에 흡수되면서 <중앙국가권력>과 <지방세력>의 권력관계는 어떠한 것인지, 정치체제의 운영원리는 어떻게 정비되는지, 족장세력들의 독자적 권한은 얼마나 되는지 등을 논의하는 이론입니다.

부체제에서 <부>란, 삼국형성기에 <부족연맹체>를 형성하여 삼국건국에 주체가 된 <각 씨족 집단>을 통칭하는 말입니다. 이 <부>의 지배집단들은 과거 씨족적 족장들로서 피정복민에 대한 우월한 지위를 가지며, 중앙의 지배 집단으로 편입됩니다. 신라에서는 흡수된 강력한 <부>세력은 중앙의 <경위>로, 나머지 지방 세력은 <외위>로 편제하여 차별하였다고 합니다.

이 부체제는 귀족연합론과 비교해 보았을 때 다음과 같은 국가 발전과정을 가지고 있습니다.

1. 소국의 단계 : 각 씨족적 족장 세력들이 존속하는 단계
   2. 부체제 : 각기 혈연적이고 지연적인 부들이 국가에 종속되면서도 독자적 위치를 인정받는 단계
   3. 중앙집권체제 : 각 부들이 국가 권력에 종속되어 1원적인 행정체계에 편입되는 단계
   4. 귀족연립체제 : 국왕권이 약해지면서 지배층이 연합정권을 구축하는 각국 말기의 체제

3. 부체제가 형성된 이유는 무엇인가?

부체제라는 특이한 제도가 형성된 이유는 <읍락의 씨족적 유제>가 너무 강하기 때문이었습니다. 삼국 초기에 각 국가는 <왕권>강화를 추진하려고 하였지만, 독자적 세력을 가진 읍락 씨족원들을 모두 1원적으로 통제할 수 없었습니다. 읍락은 공동체적 유제가 강하여 이것을 깨뜨리는 것보다 <공동체적 읍락>을 <집단적으로 예속>하여 하나의 단위로 통제하는 것이 효율적이었기 때문입니다. 특히, 당시 중앙정부의 지배력은 각 집단 내부까지 미치지 못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각 읍락 집단의 <수장>들에게 어느 정도 권한을 주어야만 했던 것입니다.

4. 부체제의 독자성

따라서 부체제에서의 족장들은 상당한 독자성을 갖습니다.

신라에서는 왕명과 관직명 앞에 자신이 어느 부 출신인지 소속부를 붙입니다. 이것을 <공동하교>라고 하죠. 왕위계승도 부에서 부단위로 이전하며, 같은 부라 할지라도 부 안에서 합의를 통한 왕위 배출을 합니다. 실제 부자상속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 건 삼국이 건국한 훨씬 후대의 일이었습니다.

부는 독자적 제사와 독자적 관리를 갖습니다. 중앙 정부라고 해도 군사권, 외교권, 무역권 등 국가공권을 제외하고는 각 <부> 내부의 일에 참견하지 못합니다. 실제 고구려 소노부는 계루부에게 정권을 넘긴 이후에도 자체의 영성사직과 자체 관원을 보유하였다고 합니다. 소노부에서 계루부로 왕위 계승이 넘어간 것은 부단위 국왕선출에 대한 증거입니다.

이 부체제에서 중요한 것은 가, 간층이 국왕에 복속되어 있다는 점입니다. 지방 족장들은 형식적으로 관등을 받아 중앙 귀족화 되었는데, 이들은 중앙 관료화 된 이후에도 경, 사대부의 관직, 사출도 등의 백성과 토지지배 등의 권한을 그대로 누리면서 지역 사회의 기반을 유지합니다. 고구려의 수장층인 제가들은 중앙에 복속하면서 <5나>가 <5부>로 개편되어 그 서열에 따라 <고추가, 대가, 소가>로 서열화되었다고 합니다. 그렇지만 그들은 사자, 조의 선인 등 독자적인 관료들을 따로 가질 수 있었습니다.

또, 부 안에도 작은 <부>들이 공존하는 <부 내 부>가 존재합니다. 부 안에서의 읍락과 토지는 일정 개인의 소유물이 아니라 <점유권>을 행사합니다. 동예의 <책화>같은 풍습은 고대 점유권의 대표적인 예였는데, 이 유제가 계속 남아있는 것이죠.

결과적으로 부체제에서 왕은 어느 한 부의 대표자의 성격일 뿐, 국정 전반을 홀로 이끌어가지 못합니다. 따라서 국정은 족장 회의를 통해 이끌어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국왕이 공식적으로 국정최고의 운영자임으로서 국왕은 귀족회의인 <남당>의 최고 책임자 자리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또 고구려의 경우, 족장 세력인 대가가 독자적 관료를 유지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가신명단을 국왕에게 보고>해야 했으며, 가신의 서열은 <국왕>이 정하는 것이었습니다. 즉, 이러한 경로를 통해 족장의 자율적 지배권과 국왕의 지역 통제권이 조화를 이루었던 것입니다.

5. 부체제가 중앙집권화 되어 가는 배경

삼국초기의 부체제는 왕권이 강화되면서 점차 중앙집권화되어 갑니다. 중앙집권이 이루어지는 배경은 당시 사회적 변화요인이 가장 크게 작용합니다.

일단 철제 도구가 보편화되면서 철제 농기구의 사용으로 생산력이 발전합니다. 이것은 생산력의 우열에 따른 빈부차와 사회분화를 촉진하는 것이었습니다. 실제로 신라사회가 중앙집권화되는 시기는 지증왕 대 <우경>의 시작과 <순장>의 금지라는 부분이 큰 역할을 했습니다. 우경이란, 생산력의 비약적인 성장을 상징하면서, 반면 소를 이용하여 농사를 지을 수 있는 계급과 그렇지 못한 계급의 신분차이를 보여주는 극명한 사례입니다.

이러한 생산력 발전과 함께 철기 무기의 사용으로 정복사업이 확대됩니다. 삼국은 정복사업을 통해 국가의 정치적 통일을 추진하였고, 효율적인 백성 통제를 할 수 있었습니다. 정복사업은 정복노예의 증가로 사회분화를 촉진시킵니다. 실제, 초기 노비는 전쟁노비가 상당히 많았습니다.

이러한 정복전쟁의 확대는 각 <부>의 자율성보다는 <공동방어>를 위한 강력한 <중앙집권세력>을 요구하는 시대적 사명을 부여합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부체제는 이제 중앙집권체제로 넘어가게 되는 것입니다.

6. 중앙집권체제의 내용

중앙집권초기에는 일단 왕위계승의 형태가 <국왕 일원적>으로 정비됩니다.

국왕권의 강화 : 왕위의 부단위 교대 배출 - 한 부의 왕위 고정배출 - 특정 씨족가문의 왕위 배출 - 부자 상속

그리고 모든 사회 조직이 왕권 강화를 위해 <제도적으로> 정비됩니다. 즉, 관등제도의 재정비, 관복제도, 불교의 수용, 율령의 반포, 행정구역 정비 등이 이루어지는 것이지요.

특히 행정구역 정비는 주성제도를 통하여 호등제도를 정착시키고, 효율적으로 부세제도와 요역제도를 정비하도록 하였습니다. 이것은 국가주도로 <인두세>를 확보하여 국왕권의 재정적 강화를 추진하는 것이었죠. 주성제의 정비로 요역을 징발하기가 수월해졌습니다. 또, 군대조직을 행정구역에 일원화하여 편제하고, 거점지에 군대를 확보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한 것도 주성제도의 확립 때문입니다.

이러한 중앙집권의 결과 인두세, 호등제도에 따라 국왕이 백성과 토지를 일원적으로 지배하는 체제가 성립되었습니다. 이제 족장이 다스리던 <토지와 백성>은 왕권에 복속되었고, 족장의 구역은 행정구역으로 전환하게 된 것입니다.

이러한 체제 정비가 진행되면서 씨족장 회의는 약화됩니다. 이제 회의의 주재자들은 국가현안을 의결하여 국왕에 건의하는 정도의 역할만 하였고, 실제 국왕은 <단독하교>로서 모든 업무를 처리하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국왕권 밑에 관등제도로서 포섭된 귀족들은 관등을 이용한 <새로운 권력>에 쉽게 적응하였습니다. 화백, 정사암 등의 회의는 계속 남아서 존속하였고, 이것은 고려의 도병마사와 식목도감, 조선의 의정부 체제 등의 신권 체제로 이어지게 됩니다.

7. 삼국 말기 귀족연립체제

귀족 연립체제는 삼국 말기 왕권이 약화되면서 귀족들이 연합적으로 정치하는 각국의 말기 체제입니다. 귀족연합론이든, 부체제론이든 이 귀족연립기가 각 체제의 마지막으로 상정되어 있습니다.

이것은 당시 수당의 통일제국 등장 등 국제관계의 변화, 철기보급으로 인한 생산력의 확대 등으로 사회 전반이 동요하는 시기인 6세기 무렵 등장합니다.

고구려는 6세기 이후 귀족들이 연합하여 대대로를 선입하는 귀족연립체제를 성립시킵니다. 대대로는 3년에 한번 실력자 가운데 선출했으며, 왕은 이 때 궁문을 닫고 승리자를 인정하는 정도의 역할밖에 할 수 없었다고 합니다. 최근에는 이러한 고구려의 귀족연립기를 장수왕 이후 천도한 평양성계 귀족과 장수왕 이전 국내성계 귀족의 대립으로 보는 견해도 많습니다.

백제는 개로왕의 전사 이후 웅진으로 천도하였는데, 이 때부터 웅진 토착 귀족들이 왕권에 대한 불신을 노골적으로 표현합니다. 이후 강력한 왕권을 가진 성왕이 죽은 이후 연, 백, 사씨 등의 8대성들이 연합하여 국정을 이끌어가는 체제로 돌아섭니다.

이러한 체제를 귀족연립체제라고 합니다. 이 귀족연립체제로 인한 내분과 갈등은 고구려, 백제의 멸망과 연결됩니다.

고구려는 이후 연개소문이 당제국에 맞서 천리장성을 축조하면서 세력을 키웠고, 선대왕을 죽이면서 귀족 반란을 일으켰습니다. 연개소문은 <대대로 체제>가 아닌 강력한 <대막리지 체제>로서 독재 정권을 유지하였습니다. 그러나 연개소문 사후 다시 귀족간 내분에 휘말려 고구려는 멸망하게 됩니다. 백제는 의자왕이 즉위하면서 귀족연립체제를 극복하고, 왕권을 강화하려고 하였지만 실패하였고, 결국 망국의 길을 걷게 됩니다.

여기까지 부체제에 대한 내용을 정리하여 보았습니다. 생각나는 만큼 막 적었더니, 포스트에 체계가 없네요. 다음 포스트에서는 삼국시대의 대외관계사를 정리하면서 삼국통일 이야기를 다루어 보겠습니다.

이 글에 대한 참고사항

1. 이 글에 대한 관련 사료는 이 사이트 검색창에서 자유롭게 검색가능합니다.(관련 검색어로 검색하세요)
   2. 이 글은 자유롭게 가져가서 참고자료로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단 가져가실 땐 꼭 댓글을 남겨주세요.

<http://historia.tistory.com 티스토리 역사블로그 히스토리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