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퀴즈풀이/히스토리아 역사 스토리

수능 근현대사 정리 3 : 임오군란과 갑신정변

8. 임오군란(1882)
  임오 군란은 표면상으로 본다면 신식군대인 별기군과의 차별대우에 분노한 구식 군인들이 반발에서 빚어진 일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이것은 개화 이전부터 계속 되어오던 개화파와 보수파의 갈등의 하나의 표출이라고 표현하는 것이 더 낫겠다.


구식군인 : 당신(대원군)이 집권할 때는 이런 일(차별 대우)이 없었는데 어떻게 된 일인가?

흥선대원군 : 그럼 내가 다 책임질테니 하고 싶은대로 해라.

  위와 같은 뒷이야기가 있는걸 보면, 다른 각도에서 생각해 볼 때 구식 군인과 별기군의 대립과 더불어 그들 배후에 있는 흥선대원군과 민씨정권의 간접적인 대립이라고 볼 수도 있다.

  임오군란이 일어나자 생명의 위협을 느낀 명성황후는 청나라에 군사를 요청하고 멀리 도망가 버린다. 사실 임오군란 자체 보다 더 중요한 것은 청나라의 군대가 지금의 용산에 주둔하기 시작했다는 것과 조청상민수륙무역장정을 체결(1882)했다는 것이다. 청나라 군대가 국내에 주둔하게 되고 청이 고문을 파견하였으며 조청상민수륙무역장정으로 내지 통상권과 청의 종주권을 인정하면서 조선에 대한 간섭이 심화되었다.   반면 임오군란으로 인해 피해를 입어 제물포까지 불이나케 꽁무니를 빼버린 일본을 또 우리 정부가 열나게 제물포까지 쫓아가 배상금을 지불하고 일본인들의 자위를 위한 일본군의 주둔을 허용하게 된다. (제물포 조약, 1882)


9. 갑신 정변(1884)
  임오군란이후 청나라의 등에 올라타 권세를 누리게 된 명성황후는 개혁을 중단하고 보수화하게 된다. 하지만 청나라는 전쟁으로 인해 주둔하고 있던 병력의 반을 회수해가고(라도 해도 아직도 서울엔 1500명 가량의 청군이 주둔하고 있었다.) 이에 김옥균은 보수정권을 타도하고 개화정권을 수립하기 위해 일본의 지원(일본군 150명ㅋ)을 지원받기로 약속하고 우정국 축하연을 기회삼아 정변을 일으킨다.(갑신정변, 1884)   그들은 14개조의 개혁 정강을 발표하여 정치, 재정 근대화를 위해 노력하였으나 일본의 약속 불이행으로 인해 3일만에 정권을 접고 일본으로 망명한다.
  그들의 어설픈 정변은 오히려 청을 다시금 자극하여 청의 내정간섭을 보다 심화하였다. 게다가 급진 개화파의 다수는 해외로 망명하였기 때문에 개화정책에 제동이 걸리게 된다. 청의 조선 내정간섭이 점점 더 심화되자 일본의 이토 히로부미는 청의 북양대신 이홍장과 정치적인 담판을 짓고 서로의 군대를 조선에서 철수하기로 한다.(텐진조약, 1884)
  갑신 정변은 최초의 근대국가를 향한 노력이라고 평가받고 있다. 이후 갑오 개혁에도 이들의 주장이 일부 반영되고, 서재필이 돌아와 독립협회를 조직하는 등 다시금 활발한 활동을 보여 계보를 잇고 이어간다.   하지만 이들은 일본에 의존적인 태도를 버리지 못했으며 극소수의 급진 개화파들만이 지지를 했을 뿐, 그 외의 다른 사람들은 관심조차 갖지 않았을 뿐더러, 토지 개혁에 소홀하여 농민들의 지지를 얻지 못했다.


14개조 개혁안

1. 대원군을 가까운 시일 안에 돌아오게 하고 청에 조공하는 허례의 행사를 폐지할 것

 => 청의 종주권 부정

2. 문벌을 폐지하여 인민 평등의 권리를 제정하고 능력에 따라 관리를 등용할 것

 => 신분제 폐지

3. 지조법(地組法)을 개혁하여 관리의 부정을 막고 백성을 구제하며,

  국가 재정을 넉넉하게 할 것

 => 지조법(地組法)은 토지세(土地稅)이지, 토지 개혁이 아니다.

12. 모든 재정은 호조에 통할한다.

13. 대신과 참찬은 날짜를 정하여 합문 내의 의정부에 모여 정령을 의결하고 반포한다.

 => 의회적 요소(입헌 군주제적 요소), 최초의 근대적 국민국가 건설에 대한 노력을

    엿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