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균전제

매일매일 역사퀴즈 (2010. 1. .11 월요일) - 범위 : 고등학교 세계사 교과서 \n"); c.write("\n"); c.write("평가 채점 결과\n"); c.write("\n"); c.write(" 문제 수 : 5\n"); c.write(" 채점하지 못 한 문제 수 : 0\n"); c.write(" 정답 수 : " + CorrectNumber + "\n"); c.write(" 오답 수 : " + IncorrectNumber + "\n"); c.write(" 점수 : " + TotalScore + " 점\n"); c.write("\n"); c.write("문제 해설 보기\n"); c.write("\n"); if( mail_address == "" ) c.write(" 문제지에 해설을 표시합니다.\n"); else c.write(" 결과를 전송한 후, 문제지에 해설을 표시합니다.\.. 더보기
일본사 이야기 14 - 봉건제도의 등장과 선종의 유행 일본사 이야기 14 - 봉건제도의 등장과 선종의 유행 1. 사무라이의 등장과 봉건제도 일본에서 봉건제도가 등장한 것은 중세 이전의 헤이안 시대부터 살펴보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서양사에서도 중세 봉건제도의 기원을 고대 로마의 콜로누스 제도와 로마식 주종관계에서 찾듯이 말이죠. 일본인들 역시 일본식 봉건제도의 기원을 일본 고대 말기의 역사적 상황과 연결시키고 있습니다. 일본의 봉건제도는 고대 말기 부유층의 장원 개발에서 비롯된다고 합니다. 일본 고대 말기에 천황가의 알력 다툼 속에서 부유한 토지 소유자들이 등장합니다. 동양사에서는 이러한 계급을 공통적으로 호족이라고 표현합니다만, 일본 고대 말기의 토지 소유자들은 호족과는 성격이 다릅니다. 중국사에서 비롯된 개념인 호족은 일정한 무력과 일정한 토지 소유.. 더보기
중국 수나라를 어떻게 봐야 할 것인가? - 수나라에 대한 분석 수나라가 다시 중국을 하나로 만들다. 이번 장에서 다룰 내용은 그동안 길고 길게 다룬 위진남북조를 통일하고, 새로운 통일 국가로 거듭난 중국 수나라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수나라는 사실 다룰 내용이 별로 없습니다. 혼란기를 통일했다는 내용 외에는 짧은 역사만이 전부이니까요. 실제 중국을 통일한 왕조인 진시황의 진이나, 이 수나라 모두 단명하였습니다. 오히려 다음 왕조인 한나라, 당나라가 몇백년 지속될 수 있는 기반을 만들어주었다는 것에서 의의를 찾곤 하죠. 수나라에 대한 이야기를 한 번 해볼까요? 1. 북주를 기반으로 중국을 통일하다. 수나라는 어디서 뜸금없이 나왔을까요? 위진남북조를 통털어 수라는 나라는 없습니다. 갑자기 어디서 튀어나옴? 결론은 위진남북조 후반 북조를 통일했던 북위에서 그 기반을 찾아야.. 더보기
위진남북조의 토지제도 분석 : 둔전제, 점전제, 과전제, 균전제 위진남북조의 토지제도 분석 : 둔전제, 점전제, 과전제, 균전제 이번 장에서는 북위의 토지제도인 균전제도에 대하여 심도있게 다루어 보겠습니다. 북위의 균전제도는 이후 포스팅 될 당나라의 와 비교해서 파악하시는 것이 좋을 듯 하네요. 이후 당나라의 에서도 북위 균전제를 자세히 다루겠습니다. 1. 중국 전통의 은 계속되어야 한다. 북위의 토지제도를 다루기에 앞서 한나라 멸망 후 토지제도의 변천을 간략히 다뤄보겠습니다. 한나라는 한무제의 으로 상인들이 호족화 현상이 심화되었습니다. 실제 후한은 지방의 토지와 군사를 가진 호족들이 연합한 이었고, 왕망의 신이 멸망한 것도 때문이었습니다. 후한말 황건적의 난의 원인도 에 대한 반발이 원인이 되었고, 이 황건적을 진압한 자들도 인 조조, 원소, 동탁 등이었습니다. .. 더보기
우리가 완전히 잘못알고 있었던 고대 식읍과 녹읍의 개념 정리 우리가 잘못알고 있던 고대 사회에서의 식읍과 녹읍제도 1. 고대 사회에서 식읍이란 무엇인가? 식읍이란, 전쟁 등을 통하여 공이 있는 자에게 내린 토지를 말합니다. 설명하자면, 왕실의 성원, 대공신 등 아주 소수의 일부 공훈자들에게 특별 급여로 땅을 지급하는 것을 말하죠. 땅을 지급한 대신 왕실을 번병하여 지키고, 국왕에게 충성하라는 의무를 부여합니다. 즉, 식읍은 권리와 의무가 동시에 부여된 땅입니다. 식읍으로 받은 땅에서는 인민, 토지 등을 포괄적으로 지배할 수 있습니다. 흔히 말하는 광역 지배가 허용된 것이지요. 사실 식읍은 실제 땅을 내려주는 경우도 많았지만, 초기 국가시대에 소국의 족장들에게 원래 영토의 기득권을 허용하는 경우도 많았기 때문에, 원래 소국 점유지에 대한 모든 권리를 양도한 것으로 .. 더보기
일본사 이야기 8- 다이카 개신기 이래의 토지제도 <반전수수법>등을 중심으로... 다이카 개신 - 토지개혁을 시도하다. 1. 6-7c 토지제도를 개혁하다. 일본 다이카 개신의 최대 핵심은 2가지입니다. 하나는 당의 율령체제를 도입하였다는 점이고, 또 하나는 당의 균전제도를 모방하여 토지를 개혁한 반전수수법의 시행입니다. 이 파트에서는 2번째 개혁 내용인 반전수수법과 토지제도를 이야기해 봅니다. 토지제도를 통해서도 일본 고대사의 흐름을 어느 정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자, 먼저 야마토 정권부터 한번 봅시다. 야마토 정권은 지금까지 이야기 했듯이 호족들이 연합하게 만든 정권입니다. 각자 땅을 가진 호족들이 유력자를 천황으로 모셔 통일국가를 이루는 구조였지요. 그러나, 시간이 지날수록 천황은 세력을 키워 중앙집권화를 추구하고 싶었고, 그래서 도입한 국가이념으로서 종교가 불교입니다. 그리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