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파식적 썸네일형 리스트형 플래시 자료 - 만파식적 설화 플래시 자료 - 만파식적 설화 이 자료는 각 교육청 기관 중고등부 학습 자료실에서 만든 자료입니다. 따라서 이 자료는 학습 목적 외에는 사용하실 수 없습니다. 이 자료들은 사이트내에서 중고등부 한국사 모의시험 출제를 위해 수집하고 있습니다. 플래시 출처 : 에듀넷 중앙학습자료실(경남교육청 자료실) 고용호의 사회교실 더보기 만파식적 만파식적 제31대 신문대왕(神文大王)의 이름은 정명(政明)이요 성은 김씨다. 개요(開耀) 원년 신사(辛巳) 7월 7일에 왕위에 올랐다. 아버지를 위하여 동햇가에 감은사(感恩寺)를 세웠다. 절의 기록에 이런 말이 있다. "문무왕(文武王)이 왜병을 진압하려 하여 이 절을 지었으나, 역사를 마치지 못하고 돌아가 바다의 용이 되었다. 그 아들 신문왕이 왕위에 올라 개요 2년(682)에 역사를 마쳤는데, 금당 계단 아래에 동쪽을 향해 구멍 하나를 뚫어 두었다. 이것은 용이 절에 들어와서 돌아다니게 하기 위한 것이다. 대개 유언으로 유골을 간직한 곳은 대왕암(大王巖)이라 하고 절은 감은사(感恩寺)라 이름했으며 후에 용이 나타난 곳을 이현대(利見臺)라 한 것 같다. 이듬해 임오(壬午) 5월 초하루에 해관(海官) 파진..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