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화백회의

역사 속의 종교 이야기 <불교 편> - 3화. 브라만교에 반대하는 사문들과 석가의 불교 탄생 역사 속의 종교 이야기 3화. 전통주의자와 공화주의자들의 대결 속에서 탄생한 석가 1. 철기 시대의 사화 변화와 계급의 성장 최고의 계급인 브라만은 우파니샤드 철학의 이념으로 의 정당성을 과시하려고 했다. 그러나, 기원전 5세기의 인도는 이미 관념만으로 지배 계급의 기득권을 유지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 철기가 보급되고, 생산력이 증가하였다. 따라서, 전사계급이 원하는 것은 였다. 물론, 신관들이 신의 계시를 내리고 전쟁을 도왔다고는 하지만, 전쟁에서 실제 필요한 것은 무력과 경제력이었다. 무력을 가진 자들이 왕족인 크샤트리아 계급이었으며, 재력을 가진 자들은 바이샤 계급이었다. 전쟁은 많은 민족간에 혼혈을 가져온다. 더 이상 순수한 이라는 말은 통하지 않는 세상이 왔다. 크고 작은 부족 국가들이 통합되면.. 더보기
삼국의 통치제도 정리 삼국의 통치제도 정리 1. 통치체제의 개요 삼국은 모두 부체제 형태의 국가로 시작합니다. 부 체제란, 삼국이전부터 각기 영역을 가지고 독립적인 세력을 유지하던 각 부가 중앙왕실에 귀속되었지만, 각 부 귀족들은 각자 관리를 거느리고 독자적으로 영역을 지배하는 체제를 말합니다. 고구려와 백제, 신라 등은 모두 부가 있었습니다. 고구려와 백제는 5부, 신라는 중앙 6부가 있었죠. 이들 독자적인 부 중에서 힘이 있는 부에서 왕을 배출하였습니다. 이러한 초기 부체제를 보통 역사에서는 이라고 부릅니다. 그리고 각 부는 중요한 일들을 각 부의 연합회의(귀족회의)에서 결정하였습니다. 고구려의 제가, 백제의 정사암, 신라의 화백 등은 삼국 초기의 부체제를 상징하는 회의들입니다. 국왕은 어떤 명령(교, 칙)을 내릴 때에도.. 더보기
한국 고대 사회의 지배층 - 가, 호민, 하호, 간 그리고 부체제 고대 사회의 지배층 - 가, 호민, 하호, 간 1. 가란 무엇인가? 고대 사회에서 지배층을 논할 때 우선 알아야 할 단어는 입니다. 가란, 북방 유목민 사회에서 전파되어 온 개념이라는 설이 있습니다. 고대 유목민 사회에서는 지배자(족장)를 가한이라고 불렀습니다. 가한이란 큰 추장이란 뜻이라고 하네요. 흉노에서는 지배자를 라고 부르는데, 이 선우도 그 원 뜻은 이라고 한답니다. 중국에서 유목왕조와의 투쟁에서 승리한 당나라도 이 이라는 용어를 쓰면서 이민족을 지배하는 지배자라고 자처하기도 했답니다. 이 라는 말은 남방에 내려와서 삼한 사회에서 이라는 용어와 같이 쓰였습니다. 우선 가가 들어간 말들은 고추가, 대가, 소가, 제가 등 북방계통의 국가가 많이 사용했습니다. 고구려, 부여에서 많이 나오는 용오들이죠.. 더보기
신라의 화백회의 화백 회의 일은 반드시 무리와 더불어 의논했다. 이를 화백(和白)이라 하는데 한 사람이라도 이의가 있으면 통과되지 못했다. - 신당서 220, 열전 145, 동이 신라 - 큰 일이 있으면 여러 관료들이 모여 자세히 의논한 후 결정한다. - 수서 권 81, 열전 46, 신라 - 사료해석 : 초기 신라의 만장일치회의인 화백회의의 사료입니다. 초기 신라의 귀족적인 성격을 보여주는 것으로, 백제의 정사암, 고구려의 제가와 함께 만장일치적 귀족사회의 면모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백제 정사암 회의(삼국유사) 정사암 회의 호암사에는 정사암이란 바위가 있다. 나라에서 장차 재상을 뽑을 때에 후보 3-4명의 이름을 적어서 상자에 넣고 봉해서 바위 위에 두었다가 얼마 후에 가지고 와서 열어보고 그 이름 위헤 도장이 찍혀 있는 사람을 재상으로 삼았다. 이런 이유로 정사암이라고 하였다. - 삼국유사 - 사료해석 : 삼국 초기 화백, 정사암, 제가 회의 등 귀족 회의가 존재하였다는 증거사료입니다. 왕권을 제약하는 귀족 세력의 합의 기구로서, 위 사료는 정사암 회의 자체에서 백제의 정치가 논의디고 수상이 선출되었던 시기가 있었음을 보여줍니다. 즉, 귀족합의 기관의 존재는 삼국의 중앙집권력에 어느 정도 한계가 있었음을 의미하며 삼국의 정치가 국왕 중심의 귀족 정치였음을 말해주는 것입니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