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거칠부

역사 크로스 퀴즈 8회 - 난이도 : 보통 역사 크로스 퀴즈(난이도 : 보통) 만약 한글이 보이지 않는다면, 상단의 보기(v) - 인코딩(D)로 들어가서 자동선택 - 한국어(또는 유니코드)로 바꿔주시기 바랍니다. This interactive crossword puzzle requires JavaScript and a reasonably recent web browser, such as Internet Explorer 5.5 or later, Netscape 7, Mozilla, Firefox, or Safari. If you have disabled web page scripting, please re-enable it and refresh the page. If this web page is saved to your computer, you .. 더보기
드라마 선덕여왕 : 성골과 진골의 차이를 정리하면? 미디어 속의 역사 드라마 선덕여왕 : 성골과 진골의 차이를 정리해 봅시다. 1. 뭐가 있어야 말을 해보지요... 드라마 선덕여왕을 보면, 이가 이라고 나온다. 그리고 미실이는 자신이 으로 태어나지 못한 것이 한스럽다고 개탄하는 장면이 나온다. 한국인이라면, 신라에 품, 진골, 성골로 구분하는 신분제도가 있었다는 것을 누구나 알 것이다. 그런데, 덕만이가 이었다는 것은 대체 무엇을 기준으로 한 것일까? 아니, 진골, 성골과 같은 용어 자체를 만든 사람은 누구일까? 당시 신라의 골품제도를 알 수 있는 사료는 삼국사기, 삼국유사, 화랑세기 등 뿐이다. 너무나 적은 자료이지만, 그나마 그 적은 자료에서도 성골이 무엇인지, 진골이 무엇인지 정확히 설명해 놓은 부분은 없다. 신라인들에게는 너무나 당연한 말이라서 적.. 더보기
고중세 역사학의 발달 과정 고중세 역사학의 발달 과정 1. 삼국시대 : 역사학이 성립되다 삼국시대 이전에는 제대로 된 역사학에 대한 기록이 없습니다. 삼국사기나 삼국유사를 의거할 때, 한국에서 제대로 된 역사서를 편찬한 시기는 삼국시대로부터 비롯됩니다. 삼국시대의 역사편찬은 왕권의 이데올로기 강화를 목적으로 합니다. 고구려, 백제, 신라는 역사서를 편찬한 시기가 대체로 강력한 를 확립하는 시기였습니다. 고구려의 유기는 5c 고구려의 강성기에, 백제의 서기는 근초고왕의 전성기에, 신라의 국사는 신라 6세기 진흥왕기에 각각 제작되었습니다. 이것은 역사학이라는 학문을 객관적으로 인식한 것이 아니라 역사학을 을 홍보하여 왕권에 대한 정당성을 확립하는 수단으로 본 것입니다. 당시의 역사서들은 남아있는 것들이 없기 때문에 내용을 자세히 알 .. 더보기
승려 혜량 승려 혜량 신라 진흥왕 12년(551) 신미(辛未)에 왕은 거칠부(居柒夫)와 구진 대각찬(仇珍大角瑗), 비태 각찬(比台角瑗), 탐지 잡찬(耽知?瑗) 등 8명의 장군에게 명하여 백제와 함께 고구려를 공격하였다. 백제 군사들이 먼저 남평양(南平壤)을 격파하자, 거칠부가 거느리는 신라군은 승리의 기세를 타고 죽령(竹嶺) 이북 고현(高峴) 이남의 10개군을 점령하였다. 이 때에 혜량법사(惠亮法師)가 무리를 이끌고 길가에 나타났다. 거칠부가 말에서 내려 군례(軍禮)로 대하고 말하기를 "옛날 유학할 때에 대사님의 은혜를 입었는데 지금 뜻밖에 뵈오니 어떻게 은혜를 갚아야 할 지 모르겠습니다"고 하니 법사가 이르기를 "지금 우리 나라의 정사가 어지러워 멸망할 날이 얼마 남지 아니하니 그대의 나라로 가기를 원한다"고 하.. 더보기
초기 신라의 교육제도 신라의 교육제도 박사(博士)·조교(助敎)와 대사(大舍) 2인을 진덕왕 5년에 두었다. - 삼국사기 38권, 잡지 7, 직관 상 국학 - 이찬 이사부가 아뢰기를 라고 하였다. 왕이 그렇다 여겨 대아찬 거칠부 등에게 명하여 널리 문사를 모아 국사를 꾸미게 하였다. - 삼국사기 권 4, 신라본기 4, 진흥왕 6년 7월 - 참고글 : 신라의 교육제도와 사서편찬에 대한 근거가 되는 사료입니다. 더보기
신라의 국사 편찬 - 거칠부 신라의 국사 편찬 - 거칠부 이찬(伊瑗) 이사부(異斯夫)가 아뢰기를, "국사(國史)란 군신(君臣)의 선악(善惡)을 기록하여 포폄(褒貶)을 만대(萬代)에 보이는 것이니 역사를 꾸미어 두지 아니하면 후세에 무엇을 보고 알겠습니까"라 하니, 왕이 그러이 여기어 대아찬(大阿瑗) 거칠부(居柒夫) 등에게 명하여 널리 문사(文士)를 모아 국사를 꾸미게 하였다. - 삼국사기 - 사료해석 : 삼국시대의 역사 서술의 특징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습니다. 1. 천신의 후예라는 선민사상을 바탕으로 한 역사 서술입니다. 따라서 신화를 상당히 강조하여 기술하였습니다. 2. 왕실족보를 강조함으로서 귀족계급의 통치 이데올로기로서 역사를 활용하려고 하였습니다. 3. 자국의 전통을 이해하면서, 백성들의 충성심을 유도하기 위한 목적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