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발해

매일매일 역사퀴즈 (2010. 1. .7 목요일) - 범위 : 고등학교 국사 교과서 \n"); c.write("\n"); c.write("평가 채점 결과\n"); c.write("\n"); c.write(" 문제 수 : 5\n"); c.write(" 채점하지 못 한 문제 수 : 0\n"); c.write(" 정답 수 : " + CorrectNumber + "\n"); c.write(" 오답 수 : " + IncorrectNumber + "\n"); c.write(" 점수 : " + TotalScore + " 점\n"); c.write("\n"); c.write("문제 해설 보기\n"); c.write("\n"); if( mail_address == "" ) c.write(" 문제지에 해설을 표시합니다.\n"); else c.write(" 결과를 전송한 후, 문제지에 해설을 표시합니다.\.. 더보기
음악 속 역사여행 7 - 발해를 꿈꾸며(서태지와 아이들 : 뮤직 비디오 속에 숨은 사료 찾기!!) 서태지 - 발해를 꿈꾸며 서태지와 아이들의 뮤직비디오 - 발해를 꿈꾸며 이 뮤직비디오를 다시 보니 신기한 장면들이 있네요. 1분 20초 쯤에 보면 역사 사료들이 몇개 나옵니다. 옛날에는 몰랐는데, 다시 보니 확실히 있군요. 무슨 사료들인지 시력 좋은 분은 맞춰보세요... ㅎㅎ 이 뮤직비디오는 다운로드, 태그복사, 소스복사를 지원하지 않습니다. 더보기
고대 경제 무역권이 우리 민족국가의 운명을 좌우하였다. 고대 경제 무역권이 우리 민족국가의 운명을 좌우하였다. 는 역사적 사실일 수는 있지만, 정설로 인정된 내용은 아닙니다. 일부 사료의 파편으로 구성한 내용이거나, 아직 공식적으로 인정되지 않은 역사적 내용들을 가지고 구성한 페이지입니다. 정설이 아니니, 글에 대한 비판보다는 이런 내용도 있을 수 있구나 하는 측면에서 만든 카테고리라는 점을 이해하고 읽어주세요. 1. 고대의 전쟁을 왜 공성전으로만 보는가? 우리는 고대의 전쟁하면 동이족과 중국족의 싸움.... 고조선, 고구려 등 북방의 패자들과 중국 춘추시대와 수당으로 이어지는 중국 국가들간의 세력 다툼으로 이해하곤 합니다. 그리고 동북아 국가와 중원국가의 싸움에서 주목하는 것은 부여성 - 요동성 - 평양성 등으로 이어지는 공성전을 생각하곤 합니다. 하지만,.. 더보기
플래시 자료 - 발해의 길 플래시 자료 - 발해의 길 이 자료는 각 교육청 기관 중고등부 학습 자료실에서 만든 자료입니다. 따라서 이 자료는 학습 목적 외에는 사용하실 수 없습니다. 이 자료들은 사이트내에서 중고등부 한국사 모의시험 출제를 위해 수집하고 있습니다. 플래시 출처 : 에듀넷 중앙학습자료실(경남교육청 자료실) 고용호의 사회교실 더보기
플래시 자료 - 발해는 우리의 민족국가이다. 플래시 자료 - 발해는 우리의 민족국가이다. 이 자료는 각 교육청 기관 중고등부 학습 자료실에서 만든 자료입니다. 따라서 이 자료는 학습 목적 외에는 사용하실 수 없습니다. 이 자료들은 사이트내에서 중고등부 한국사 모의시험 출제를 위해 수집하고 있습니다. 플래시 출처 : 에듀넷 중앙학습자료실(경남교육청 자료실) 고용호의 사회교실 더보기
박은식의 한국통사 <결론 부분 전문> 박은식의 한국통사 발췌부분 : 박은식 선생님의 한국통사 중 결론 부분 전문 발췌자 : http://historia.tistory.com/(히스토리아) 자료 원문 서적 : 한국통사(박은식 저, 김승일 옮김, 범우사, 2000) 1. 운영자의 해석 한국통사는 백암 박은식 선생님이 상하이에서 망명하던 시절에 쓰신 책입니다. 이 때 박은식 선생님은 스스로 나라를 잃은 미친 노예(태백광노)라는 이름으로 이 책을 쓰셨습니다. 한국통사는 서언, 1편(대강편), 2편과 3편(1-51장, 1-61장), 결론, 후서, 발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소개할 부분은 유명한 에 대한 말이 나오는 결론 부분입니다. 박은식 선생님의 역사관이 집약된 부분이라 이 부분을 오늘 포스팅 하려 합니다. 2. 한국 통사의 결론 부분 옛날에 대씨가.. 더보기
(인용글) 한국 발해사 연구 현황 발해사 연구의 현황 한 규 철(경성대 교수) 한국과 중국, 일본, 러시아 네 나라 사람들은 근대적 발해사 연구가 시작되어서부터 지금까지 총 1,972편의 글이 발표하였다. 물론 1,972편 중에는 부분적으로 신문과 잡지에 발표된 것까지를 포함하여 숫자상의 의미는 크지 않지만, 그렇다 하더라도 발해사 연구와 관련되어 이만한 글들이 발표될 수 있었다는 것은 발해사 연구가 한국과 중국, 일본, 러시아 4국이 공동의 관심을 갖고 있다는 반증이다. 4개국의 연구를 계량적으로 분석해 보면 中國이 894편 45.3%로 다른 나라에 비해 가 장 많았고, 日本이 435편 22.1%, 韓國이 380편 19.3%, 러시아가 263편 13.3%였다. 또한, 그동안 글을 남긴 사람들을 중심으로 볼 때에, 中國은 269명, 日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