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사암

고대 사회에서의 <부체체론> 고대 사회에서의 1. 부체제론과 귀족연합론 부체제론과 귀족연합론은 초기 삼국시대의 독자적 족장세력을 국가가 흡수하는 것에 대한 관점의 차이 논쟁입니다. 부체제론에서는 에 논의의 초점을 맞추는데 비해, 귀족연합론은 이라는 것에 키워드를 맞추어 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귀족연합론부터 볼까요? 귀족 연합론이란, 초기 국가의 형태가 에 주목하는 이론입니다. 이 이론에 따르면, 국왕과 귀족은 서로 권력에 있어서 주도권을 놓고 다투는 존재입니다. 삼국이 각 독자 세력들을 관등제도에 의해 편제하였지만, 과연 이 관등제도가 왕권과 귀족권 중에 어떤 부분에 초점이 맞추어 졌는가를 논의합니다. 일반적으로 논의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관등제도의 성립으로 지방 족장들이 왕권에 복속되어 가 되었습니다. 그러나, 귀족들이 관등.. 더보기
백제 정사암 회의(삼국유사) 정사암 회의 호암사에는 정사암이란 바위가 있다. 나라에서 장차 재상을 뽑을 때에 후보 3-4명의 이름을 적어서 상자에 넣고 봉해서 바위 위에 두었다가 얼마 후에 가지고 와서 열어보고 그 이름 위헤 도장이 찍혀 있는 사람을 재상으로 삼았다. 이런 이유로 정사암이라고 하였다. - 삼국유사 - 사료해석 : 삼국 초기 화백, 정사암, 제가 회의 등 귀족 회의가 존재하였다는 증거사료입니다. 왕권을 제약하는 귀족 세력의 합의 기구로서, 위 사료는 정사암 회의 자체에서 백제의 정치가 논의디고 수상이 선출되었던 시기가 있었음을 보여줍니다. 즉, 귀족합의 기관의 존재는 삼국의 중앙집권력에 어느 정도 한계가 있었음을 의미하며 삼국의 정치가 국왕 중심의 귀족 정치였음을 말해주는 것입니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