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퀴즈풀이/히스토리아 역사 스토리

판타스티아 3 - 길가메시

판타스티아 3 - 길가메시

1. 개관

   그리스의 《오디세이아》에 비할 만한 이야기입니다. 주인공 길가메시는 수메르 ·바빌로니아 등 고대 동양 여러 민족 사이에 알려진 전설적 영웅으로, 수메르의 자료에 의하면 우루크 제1왕조 제5대 왕이었으나 뒤에는 전설적인 인물이 되어, 옛 이야기의 미술작품에도 가끔 나타나고 있습니다. 《길가메시 서사시》는 BC 2000년경에 이룩된 것이라 하는데 각기 시대가 다른 별도의 이야기들을 한 사람의 인물인 길가메시에 통일시킨 것이죠. 오늘날에는 주로 BC 7세기 니네베의 아슈르바니팔 왕궁 서고에서 출토된, 12개의 점토서판이 그 전거가 되는데, 1862년에 영국의 조지 스미스가 이 서판의 내용을 공표함으로써 전세계에 알려지게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길가메시는 반신반인의 영웅으로 폭군이 되어 있네요.

2. 길가메시 이야기의 줄거리

여신 아루루가 괴물 엔키두를 보냈지만 두 사람은 싸움 끝에 친구가 됩니다. 두 사람은 숲속의 괴물 훔바바를 치러 함께 떠나 이를 무찌르게되죠. 다음에 엔키두는 하늘의 황소까지 죽여 버리는데 그 죄과로 하늘로부터 죽음의 벌을 받는다는 이야기입니다.
    친구의 죽음을 애통해하며 길가메시는 죽지 않는 비결을 찾아 헤메게 다니게 됩니다.
    오랜 방황을 하다가 드디어 멀리 성자의 섬에 사는 우트나피시팀(바빌로니아의 노아)을 만나게 됩니다. 이곳에서 우트나피시팀은 옛날 신이 일으켰던 대홍수(구약성서 중 노아의 대홍수에 해당한다)의 이야기를 해줍니다. 그러나 그도 죽지 않는 비결은 알지 못하고 다만 불로초를 바다에서 캐는 방법을 가르쳐 줍니다.. 길가메시는 이 풀을 캐 가지고 집으로 돌아가다가 잠시 쉬고 있는 사이 뱀이 이 불로초를 먹어 버려 빈손으로 슬픔에 잠겨 우루크성으로 돌아오다는 내용입니다.

  즉 이 이야기에는 2/3는 신이고, 1/3은 인간인 태양거인이 나오는가 하면, 여러 신화적 괴물도 등장합니다. 또한 방황에 대한 구조라던가 설정 등은 웬지 그리스적인 신화 냄새가 많이 납니다. 이러한 방황을 극복하는 영웅이라던가, 어쩔 수 없는 운명에 저항하지만 좌절할 수밖에 없는 인간의 모습... 특히 많은 사람들이 이 이야기를 <헤라클레스 신화>의 전편이라고 이야기 합니다.
   또 대홍수에 대한 설명 등이 가미된 이 이야기는 고대 수메르, 아카드 인들과 셈족인 아랍족, 히브리족이 밀접한 연관이 있음을 잘 보여주는 것이 아닐까요? 성경 자체가 설형문자를 변형한 문자체계인 히브리어인 만큼 성경 자체에 고대 오리엔트 민족들의 이야기와 그들의 사상이 들어가 있다는 점도 눈에 띕니다.

어떤 이들을 이 점을 들어 구약성경은 하느님을 말씀이 아니라 오리엔트 고대 민족의 잡설을 모아놓은 옛 이야기라고 말하는 이들도 있습니다. 그러나, 어느 성인의 이야기이든, 어떤 성스런 책의 이야기이든 인간이 살아가는 세상의 이야기가 섞여있는 이상 그 지역 역사의 배경이 들어갈 수밖에 없습니다. 불경은 인도의 청동기 시대 소왕국들의 싸움이야기, 성경은 헤브라이 민족과 주변민족의 전쟁사, 춘추와 전국책은 중국 혼란기의 정치이야기로만 파악하려 한다면 종교는 설 자리를 잃습니다. 역사는 종교의 영역과 대립해서는 실제 사회적인 상황과 의미를 파악할 수 없습니다. 종교는 종교로서 믿음을 갖는 갖고 살아가는 게 좋을 듯 싶네요.

3. 길가메시 중에 한 부분 소개

우르크의 왕이자 영웅인 길가메시는 친구의 죽음을 보고 충격을 받았다. 그는 영생을 찾아 광야를 헤메는 나날을 보낸다. 어느 날 우연히 만난 보잘 것 없는 여인이 거지꼴의 그를 보고 충고를 하였다.

<길가메시여, 당신은 생명을 찾을 수 없을 것입니다. 신들이 인간을 만들 때 인간에게 죽음도 함께 붙여 주었지요. 생명만은 그들이 보살피도록 남겨 두었습니다. 좋은 음식으로 배를 채우십시오. 밤낮으로 춤추며 즐기십시오. 잔치를 벌이고 기뻐하십시오. 깨끗한 옷을 입고 물로 목욕하며 당신 손을 잡아줄 자식을 낳고 아내를 당신 품안에 꼬옥 품어주세요. 왜나하면 이것또한 인간의 운명이니까요.>

   - 이 글은 메소포타미아의 주민들은 내세보다는 현실 문제를 중시하며, 도시마다 수호신을 섬겨 현세에서의 행복을 빌었음을 알려주는 부분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