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퀴즈풀이/역사 사료와 데이터

서동과 선화공주에 관한 설화

 

서동과 선화공주 설화

백제 제30대 무왕 그의 이름은 장이다. 무왕의 어머니는 과부였다. 그녀는 서울 남지가에 집을 짓고 홀로 살던 중 그 못의 용과 교통하여 무왕 장을 낳았다. 무왕의 아명은<서동-맛둥>, 그의 재능이며 도량은 넓고 깊어 헤아이기 어려웠다. 항상 마를 캐어 팔아 생활해 나갔다. 사람들이 거기에 착안하여 그의 이름을 서동이라고 부른 것이다.

서동은 신라 진평왕의 세째 공주 선화가 세상에 둘도 없는 아름다움을 지녔다는 소문을 들었다. 그는 머리를 깎고 신라의 서울로 왔다. 서울의 마을 아이들에게 그는 마를 나누어 주었다. 아이들은 호감을 가지고 그를 따랐다. 서동은 마침내 한 편의 동요를 지었다. 그리고는 마을의 그 아이들을 꾀어, 자기가 지은 동요를 무르고 다니게 했다.

"선화 공주님은 남 몰래 밀어 두고(밀통하고), 서동을 몰래 밤에 안고 간다."

동요는 서울의 거리에서 거리로 마을 아이들의 입으로 번져나가 드디어는 대궐까지 알려졌다. 백관들은 동요의 내용을 사실로 믿고서 선화공주의 부정한 행실을 극력 탄핵하여 공주를 먼 시골로 유배시키도록 했다.

누명을 쓰고 공주가 유배의 길을 떠날 때 왕후는 순금 한 말을 노자로 주었다. 선화공주가 유배지로 가는길, 서동이 도중에 나타나 공주를 맞았다. 그리고는 앞으로 공주를 모시어 호위해 가겠다고 나섰다. 공주는 그가 어디서 온 어떤 정체의 사람인지를 알지 못하면서도 어쩐지 미덥고 즐거웠다. 이리하여 서동은 공주를 수행하게 되었고, 그리고 둘은 몰래 통하게 되었다. 그런 뒤에 공주는 서동이란 이름을 알고서 그 동요시가 사실로 실현되어 나타남을 알았다. 그리고 함께 백제로 왔다.

선화공주가 그 모후가 주던 금을 꺼내어 놓고 생활을 계획하려 하자 서동은 큰소리로 웃어젖히며 물었다. "이게 무슨 물건이오?" "이건 황금입니다. 평생 동안 가멸케 살아갈 수 있을거예요."

공주의 대답을 듣고 서동은 말했다. "내가 어려서부터 마를 캐던 곳에 이런 것들이 흙처럼 쌓여 있소." 공주는 듣고서 깜짝 놀라며 말했다. "이것은 세상에도 지극한 보물입니다. 그대가 지금 금의 소재를 아신다면 그 보물을 부모님 궁전으로 실어 보내는것이 어떨까요?" 서동은 그러자고 했다.

이래서 그 황금을 모아 들였다. 둔덕만큼이나 하게 황금을 쌓아 두고 서동과 공주는 용화산(지금의 익산 미륵산) 사자사에 있는 지명법사에게로 가서 황금 수송의 방책을 여쭈어 보았다. 지명법사는 응낙했다. "내가 신통력으로 보낼수 있다. 금을 가져 오너라" 선화공주는 편지를 써서 금과 함께 지명법사에게 맡겼다. 법사는 신통력을 써서 하룻밤 사이에 그 황금과 그리고 공주의 편지를 신라의 궁중에 옮겨다 놓았다. 진평왕은 그 신묘한 변통이 경이로와, 무척 존경하게 되어 항상 글을 띄워 안부를 묻곤 했다. 서동은 이로 말미암아 인심을 잡게 되어 왕위에 올랐다.

하루는 서동, 즉 무왕이 왕비 선화와 함께 사자사로 거동하는 길에 용화산 아래의 큰 못가에 이르자 미륵 3존이 못 속에서 나타났다. 그들은 수레를 멈추고 경계를 올렸다. 왕비는 왕에게 말하는 것이었다.

"그곳에다 큰 가람을 세우는것이 진실로 소원이노라"고. 왕은 왕비의 소원을 들어주었다. 지명법사에게로 가서 그 못을 메울 일을 여쭈었다. 신통력을 써서 하룻밤 사이에 산을 무너 못을 메워선 평지로 만들어 놓았다.  그곳에다 미륵상 셋과 그리고 그것에 부수되는 회전.탑.낭무들을 각각 세곳으로 세우고 이름하여 미륵사라 했다.

-삼국유사 -

자료참조 : 이 설화도 사실은 노래 [서동요]의 배경설화로 더 알려져 있다. [서동요]는 당시 신라와 백제의 관계로 보아 백제왕인 무왕의 작품이라기 보다는 민요라는  해석이 뒤 따르지만 동요임에는 틀림이 없다. 그 당시 어린이들의 동요가 이렇게 성숙한 내용과 동화적 배경을 가지고 있다는 것은 7세기 신라문학이 이미 원숙해 있다는 것을 설명해 주는 것이다.

서동은 그의 어머니와 못의 용(龍)이 정을 통하여 낳았다. 여기에서 용과의 사이에서 낳은 것은 비범한 영웅의 탄생을 위한 설화적 윤색이라고 할수 있다. 즉 영웅은 평범한 인물처럼 인간들 사이에서 태어날 수 없다는 인식이 이러한 구성을 하게 한 것이다. 이를 이물 교접 설화(異物交接說話)라고 한다.  또 서동의 탄생은 소위 '야래자형 설화'하고도 일치한다. '야래자형 설화'에 대하여는 본서에 실린 내용을 참조하면 될 것이다.

후백제의 견훤도 실은 사람과 지렁이의 교혼에서, 고려 태조 왕건의 선조도 용과의 교혼에서 태어났다. 따라서 이렇게 탄생한 서동은 평범할 수 없는 인물이라는 것을 미리 지시하고 있는 것이다. 이의 현대적 표현이 이른바 태몽이 될 것이다.

비범한 인물로서의 서동이 맨 처음 착수한 것으로 나타난 것은 가정을 만드는 일이었다. 그는 당시 신라에서 가장 미모의 여인인 선화 공주(善化公主)를 아내로 삼기 위하여 동요를 지어 퍼뜨렸다. 이것이 [서동요]이다.

[서동요]에서 고유 명사를 빼놓고 본다면 여자가 남자와 남몰래 사랑을 맺어 두고, 밤이면 남자에게 안겨 간다는 말로 되어 있다. 공연한 말이라도 소문으로 굳어지면 결과가 그렇게 되게 마련이라는 점을 노린 노래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여자는 지체가 높은 공주이고, 상대편인 남자는 미천한 신분의  서동이다. 허용될 수 없는 관계의 남녀가 결합하는 기본 인식은 굳어진 신분 체계의 장벽을 허물어 뜨리고자 하는 발상에서라고 할 수 있다.

공주와 결혼한 서동은 산더미처럼 쌓아 놓은 금(金)을 지명법사의 신력을 빌어 진평왕에게 보내고, 부부 관계를 공식적으로 인정받는다. 여기에서 금(金)을 보내는 것은 웃사람을 받들 줄 아는 예절을 지니게 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선화 공주를 맞이하기만 하면 된다는 이기적 사고에서 주위와의 관계를 인식하는 사회적 인간으로 변모하게 되는 것이다. 이 변모에의 바탕 위에서 서동은 왕위에 오르게 되는 것이다. 이 변모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선화 공주임은 말할 필요도 없다. 그래서 선화 공주는 깨닫지 못한 중생을 선화하는 보살의 이미지를 가진 인물로 파악할 수 있다.

이 설화의 후반은 미륵사 창건의 연기 설화로서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이 설화가 <삼국유사>에 기록될 수 있었던 까닭도 불사(佛寺)와의 연관을 맺는 후반부의 이야기 때문으로 생각할 수도 있다. 앞 부분에서 개인적 시각에서 사회적인 것으로 시야를 넓힌 서동은 이 단락에 이르러 중생을 제도하는 차원 높은 종교적 세계로 개안하고 있다. 이렇게 볼 때 서동 설화는 한 인간이 보다 차원 높은 세계로 성숙해 가는 모습을 문학적으로 형상화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 설화는 철저하게 민중적이다. 이 설화에는 영웅의 힘을 발휘하게 하는 고난이나 불행 이야기가 없다. 따라서 영웅담에 입각한 귀족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보기는 어렵다. 서동이 어려서 마를 캐어 팔아 생활하는 것은 민중의 고난에 찬 현실을 반영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 설화는 민중에 의해 형성되었다고 할 수 있다. 물론 어려서의 고난을 '영웅의 시련'이라고 본다면 이 설화도 '영웅의 일생'을 밟는 설화라고 할 수 있다.

* 무왕(武王, ? - 641): 백제 제 30대 임금. 당에 의해 대방국 백제왕에 책봉되고, 신라에 잃었던 땅을 찾기도 했다. 사비궁을 중수하고 왕흥사를 창건하는 등의 업적을 남김.

[소재의 상징성]
이 설화에서 나타나는 금(金)은 비범한 인물을 나타내는 표지이며, 나아가 신성한 지위나 왕권과 관련되었음을 보여준다. 또 경제적인 부를 가리킨다. 동서양을 막론하고 금은 태양, 불, 천국, 여원, 영생, 신성, 명예, 위엄, 횡재 등을 의미하고 있었다. 이 설화에서 우리는 보화를 대표하는 금의 획득이 한 인물의 현실적인 지위의 상승이나 명예의 획득과 결부되어 있다는 것을 알수 있다.. 아런 예를 이성계의 등극과 관련된 이야기에서 이성계가 금척(金尺)을 받는데서도 볼 수 있다.
 
[다른 작품과의 관련성]
서동의 탄생은 비정상적이나 고귀한 혈통이 아니라는 점에서 [주몽신화]나 [탈해신화]와는 다르다. 그리고 우리 문학사에서 공주가 주인공이 된 것은 '선화'와 [온달 이야기]의 '평강'뿐인데 둘 다 금으로써 바탕을 삼아 미천한 남편을 출세시켰다 . 이런 유의 이야기는 민중들의 희망이라고 볼 수 있는데 무왕이나 온달이 개입하자 더 큰 설득력을 얻을 수 있었다고 여겨진다. 아무튼 [서동 설화]는 서정 문학과 서사 문학에, [온달 이야기]는 서사 문학의 근간을 이루었다.
한편 이를 소재로 현진건이 [선화공주]라는 소설을 쓰다가 중단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