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퀴즈풀이/재미있는 역사 퀴즈

매일매일 역사퀴즈 (2010. 1. 4) - 출제범위 : 세계사 일반

매일매일 역사퀴즈 (2010. 1. 4)

오늘의 출제 범위는 세계사입니다.

  - 반드시 컴퓨터용 수동 마우스를 사용해 주시고, 제출하기를 꼬옥~ 눌러주세요.
  - 점수와 후기를 댓글로 남겨주시면 다음 회 난이도를 조절할 수 있답니다.
  - 매일매일 역사퀴즈는 매주 월, 화, 수, 목, 금요일에 업로드 됩니다.(토, 일은 저두 놀러가야되요~)

 

1. 다음 민주정치의 구조도를 보고 물음에 답하세요.

 

1. 위와 같은 정치구조를 가진 서양 고대 국가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어느 것일까요?
① 위 국가에서는 시민과 그 가족의 숫자가 노예의 숫자보다 더 많았다.
② 위 제도를 만든 지도자는 전 시민을 4부족 대신 10부족으로 만들어 행정 구역을 개편하였고, 효율적인 행정 체제를 유지하기 위해 도편추방법을 도입하였다.
③ 그들은 스스로의 제도를 권력이 모든 시민에게 있는 민주정치라고 말했지만, 여성, 외국인, 노예에게는 참정권이 없었으며, 시간이 지날수록 시민의 숫자는 줄어들었다.
④ 아크로폴리스와 아고라의 밖으로 성벽을 둘러쳐서 외부와 단절된 생활 단위를 형성하였고, 성벽 밖의 폴리스인들과는 종교, 언어, 생활방식을 달리하였다.
⑤ 민주정치의 지도자였던 페리클레스는 페르시아 전쟁의 승리로 민주주의의 황금기를 열었으나, 펠로폰네소스 전쟁에 패배하면서 죽음을 맞이하게 된다.

 

2. 다음은 패닉이 부른 <로시난테>입니다. 잘 듣고 물음에 답하세요.


 

2. 위 노래 내용과 관련된 계층이 몰락하게 된 배경으로 옳지 않은 것은 무엇일까요?
① 십자군 전쟁이후, 장원제도가 급속히 붕괴되었다.
② 중국 송나라에서 발명된 화약이 십자군 전쟁이후 이슬람을 통해 서유럽에 대량으로 보급되었다.
③ 흑사병으로 인해 도시 중산층이 무너지면서 농노들이 늘어나게 되었다.
④ 상업의 중심지로 피렌체, 밀라노, 플랑드르, 로렌 등 도시 국가들이 성장하기 시작했다.
⑤ 백년전쟁과 장미전쟁 등은 이들 세력이 몰락하는 계기가 되었다.

 

3. 다음 자료를 잘 읽고 물음에 답하세요.

 - 그는 이슬람 계통으로 중국인들이 <색목인>이라 부르던 사람이었다. 그의 원래 중국 이름은 <무함마드>를 중국식 한자로 읽은 <마화>였는데, 황제로부터 <정>이라는 성을 하사받았다.

  - 중국과 이슬람, 인도와 동남아시아에 대해 다른 이들보다 잘 알고 있었던 그는, 영락제에게 아시아의 조공무역 체계를 완성하겠다는 의지를 보이고 원정을 떠난다.

  - 그의 함대는 매회 62척에 이르는 대범선과 백수십척의 함정으로 이루어졌고, 동원된 선원이 2만 7천여명에 이르렀다. 그 배 한척의 길이가 120m에 이르렀으니, 당시 유럽의 무적함대와 비교해도 몇배 더 큰 규모였다.

 - 이러한 어마어마한 규모의 함선이 동남아, 인도를 거쳐 아프리카 동해안에 이르렀으니, 당대 해양 기술은 중국이 유럽을 압도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 함대는 유럽의 함선과 달리 정복이 목적이 아니라 조공을 통한 중국식 세계질서를 확립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3. 위 내용과 관련된 인물이 살았던 중국의 왕조는 어느 왕조일까요?
① 한나라                    ② 은나라                    ③ 금나라
④ 원나라                    ⑤ 명나라                    ⑥ 청나라

 

4. 다음 자료를 잘 읽고 물음에 답하세요.

 - 메이지 유신은 아시아 전체에서도 전례가 없는 대 변혁이었다. 유력 무사들의 근거지는 사라지고, 그곳에 중앙정부의 행정구역(현)이 설치되었다.

 - 문제는 메이지 유신의 공로자인 무사계급을 어떻게 처리하냐는 것이었다. 중앙집권화된 국가에 더 이상 무사는 필요하지 않았다. 메이지 정부는 현에서 무사들을 몰아내고, 무사의 특권은 녹봉을 중단하였다. 사민평등제가 실시되면서 모든 이들이 무사와 같이 <성>을 갖게 되고, 징병제가 실시되면서 무사의 가치는 사라졌다.

 - 서구화 정책으로 설 곳을 잃은 무사들은, 이제 메이지 정부의 적이 되었다. 그들이 폭발하면 메이지 정부는 순식간에 무너질 수도 있었다. 이렇게 불만에 찬 무사들을 달래려고 한 것이 바로 <정한론>이었다.

  - (1)_____________는 무사들의 반란을 방지하게 위해 조선과의 전쟁을 추진하였다. 조선과 전쟁을 통해 불만이 많은 무사들을 제거하거나, 무사들의 시선을 돌리려고 한 것이다. 그리하여, 조선의 <흥선대원군>을 자극하는 편지(서계)를 자주 보내어 조선을 자극했고 전쟁 준비를 시작하였다.

  - 이 문제로 메이지 정부는 극심한 혼란을 겪었다. 과연 미국에 의해 개화한 일본이 조선에게 전쟁 도발을 바로 감행할 명분이 있냐는 문제였다. 결국, 지금은 때가 아니라는 <점진론자>들에게 밀려 정한론을 실현되지 못하였다.

  - 그러나, <정한론>이 실현되지 못한 이후, 계속된 무사들의 난이 있었다. 이미 징병제도를 확립한 메이지 정부는 무사들을 모두 격퇴했지만, 반란은 계속되었다. 오히려 정부에 불만을 품은 (1)________________ 이 무사들을 규합하여 4만의 군대로 정부에 도전한 세이난 전쟁도 있었다. 그러나, 메이지 정부는 무사들을 모두 격퇴하고 당분간 <정한론>을 봉인하였다.

 

4. 위 내용과 관련된 정한론자로서 빈칸의 (1)에 들어갈 인물은 누구일까요?
① 사이고 다카모리
② 오다 노부나가
③ 도요토미 히데요시
④ 에토 심페이
⑤ 도쿠가와 이에야스
⑥ 이토 히로부미

 

4. 다음 자료를 잘 읽고 물음에 답하세요.

 - 1884년, 프랑스는 청프전쟁을 승리로 이끌면서 청으로부터 이 국가의 지배권을 인정받았다.

  - 이 국가는 대규모 반프랑스 운동(근왕 운동)을 추진하였고, 유신회를 조직하여 200여명의 청년들을 일본에 보냈다. 일본의 근대 문물을 배웠던 이 운동을 동유 운동이라고 한다.

  - 미국을 위해 일하던 호찌민은, 2차 대전 때 일본의 패망을 도왔으나, 조국의 독립을 구경하지 못하였다. 그는 곧 공산당을 조직하여 반미 운동에 돌입한다. 이 국가는 남북으로 분열되는 아픔을 겪었지만, 프랑스와 미국으로부터 독립을 이루게 된다.

 

5. 위 내용과 관련된 국가는 어디일까요?
① 미얀마
② 캄보디아
③ 라오스
④ 타이
⑤ 베트남
⑥ 싱가포르
⑦ 인도네시아
⑧ 필리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