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퀴즈풀이/역사 사료와 데이터

사택지적비 - 고대의 도교사상

 

사택지적비

병인년 정월 구일, 내지성의 사택지적은 해가 쉬이 가는 것을 슬퍼하고 달이 어렵사리 돌아옴이 서러워 금을 캐어 귀중한 당을 짓고 옥을 파서 보배로운 탑을 세웠다. 우뚝 솟은 자애로운 모습은 신령한 빛을 토해 구름을 보내고 뾰족하니 슬픈 모습은 성스러운 밝음을 머금어.......

참고글 : 사택지적비는 1948년 부여읍 관북리(官北里) 도로변에서 발견되어 현재는 국립부여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습니다. 발견된 것은 비의 일부로서, 현존 높이 102cm, 너비 38cm, 두께 29 cm입니다. 양질의 화강암에 가로 세로로 정간(井間)을 구획하여 그 안에 평균 4.5cm 크기가 되는 글자를 음각하였습니다. 1행은 14자로 되어 있는데 현존하는 것은 앞 부분에 해당하는 4행까지로서 모두 56자입니다. 비의 오른쪽 윗부분에 봉황문이 새겨져 있으며 붉은 칠을 한 흔적이 남아 있습니다. 문체는 중국 육조시대의 사륙변려체(四六騈儷體)이며, 자체는 웅건한 구양순체(歐陽詢體)로서 문장이나 자체가 모두 세련되어 있습니다. 비문의 내용은 654년(의자왕 14)으로 추정되는 갑인년 정월에 나지성(奈祗城)의 사택지적이란 사람이 늙어가는 것을 탄식하여, 불교에 귀의하고 원찰을 건립했다는 것입니다.

‘사택’이란 성은 백제의 대성팔족(大姓八族) 중의 하나인 ‘사씨(沙氏)’와 같은 것이며, 《일본서기》에도 백제에서 온 사신 ‘대좌평(大佐平) 지적’이란 기록이 나오기 때문에 이 비는 백제의 최고급 귀족이 남긴 중요한 금석문 자료라 할 수 있습니다.

- 참고글 출처 : 네이버 사전 자료실 -

사택 지적비의 최근 논쟁은 사택지적비 한 쪽 귀퉁이에서 봉황 무늬가 확인되고 있고 내용 또한 노장 냄새가 나기 때문에 사택지적비가 노장사상을 반영한다라는 교과서 설이 정설이라는 점입니다.

사택지적비는 인생의 덧없음을 개탄해 절을 지으면서 남긴 글인데 불교사상과 노장사상이 직접적으로 관련지어 나타나는 부분은 찾기가 어렵다는 설이 있습니다. 불교사상은 일부 보이지만, 노장사상의 직접적 근거는 없다는 설이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