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려사절요

고중세 역사학의 발달 과정 고중세 역사학의 발달 과정 1. 삼국시대 : 역사학이 성립되다 삼국시대 이전에는 제대로 된 역사학에 대한 기록이 없습니다. 삼국사기나 삼국유사를 의거할 때, 한국에서 제대로 된 역사서를 편찬한 시기는 삼국시대로부터 비롯됩니다. 삼국시대의 역사편찬은 왕권의 이데올로기 강화를 목적으로 합니다. 고구려, 백제, 신라는 역사서를 편찬한 시기가 대체로 강력한 를 확립하는 시기였습니다. 고구려의 유기는 5c 고구려의 강성기에, 백제의 서기는 근초고왕의 전성기에, 신라의 국사는 신라 6세기 진흥왕기에 각각 제작되었습니다. 이것은 역사학이라는 학문을 객관적으로 인식한 것이 아니라 역사학을 을 홍보하여 왕권에 대한 정당성을 확립하는 수단으로 본 것입니다. 당시의 역사서들은 남아있는 것들이 없기 때문에 내용을 자세히 알 .. 더보기
(참고글) 고려사와 고려사 절요 고려사와 고려사 절요 출처: 이성복(sungbok.com), 이성미, 정슬기 외 5인 공저 이 글은 블로그의 운영자가 작성한 글이 아닙니다. 이 글은 이후 포스팅 될 와 의 핵심 내용들을 읽을 때 참조할 수 있는 글로서 위 저작자의 글을 가져왔습니다. 참고만 하세요. 1. 서론 현존하는 고려시대 자료가 빈곤한 상황에서 『고려사』와 『고려사절요』는 고려시대사 연구 자료로 가장 비중이 있는 역사서일 뿐 아니라, 편찬할 당시인 조선 초의 역사인식과 시대적 상황과 서술을 검토하는 데에도 매우 긴요한 자료로써 일찍부터 학자들의 주목을 받아왔다. 역사적으로 보았을 때 새로운 집권층이 등장하는 경우에 대부분은 이전 시기의 역사(당시로 보았을 때는 현대사)를 정리 또는 왜곡함으로써 자신들의 정당성을 부여받으려고 하였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