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도솔천

역사 속의 종교 이야기 <불교 편> - 13화. 정토종 : 정통 미륵에서 벗어난 아미타 부처 역사 속의 종교 이야기 13화. 정토종 : 정통 미륵에서 벗어난 아미타 부처 1. 복잡한 인도 철학을 벗어나 민중의 신앙으로... 자, 지금까지 우리는 중국으로 전파된 대승불교 철학을 살펴보았다. 위진시대의 불교 수준은 노자 사상으로 부처를 이해하는 수준이었다. 그러나, 인도 대승 불교의 핵심사상이었던 , 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지면서 불교와 도교는 선후 논쟁을 벌였고, 그 결과 수, 당의 통일국가에서는 여러 종파 불교가 등장하였다. 그리고, 당나라에서는 많은 종파의 이념을 하나로 묶으려는 화엄종이 성행하였다. 하지만, 이 과정은 모두 사상의 본질을 이해하기 위한 노력이었다. 즉, 인도 불교의 참뜻을 알기 위해 철학적으로 불교를 접근한 것이다. 이렇게 사상을 이해하기 위해 철학적으로 접근한 종파들을 묶어 .. 더보기
역사 속의 종교 이야기 <불교 편> - 7화. 불교의 참뜻을 알리려던 고승들 역사 속의 종교 이야기 7화. 불교의 참뜻을 알리려던 고승들 1. 도안(312-385) : 지금 불교에 필요한 것은? 계율이다. 자 지금까지 격의 불교에 대해 설명했다. 격의 불교를 한마디로 정의하자면, 하는 것이다. 부처의 깨달음인 을 도교 사상인 무위자연과 비슷하다고 여기고, 는 식으로 간략하게 설명하는 것이다. 불도징의 제자인 도안(312-385)은 심오한 불교 교리를 대충 때려맞추려는 격의 불교 사상이 싫었다. 격의 불교 사상 때문에 당시 불교는 수준에서 벗어나지 못했기 때문이다. 지식인과 일반 백성 할 것 없이 불교를 다른 종교와 구별하는 것 조차 못하였다. 하안과 왕필 같은 청담 사상가들은 고 이해했을 정도이다. 오히려 논쟁이 된 것은 부처와 노자 중에 누가 먼저 태어난 스승이냐 같은 것이었다.. 더보기
역사 속의 종교 이야기 <불교 편> - 4화. 인도 불교의 대중화 - 대승 불교 이야기 역사 속의 종교 이야기 4화. 인도 불교의 대중화 - 대승 불교 이야기 1. 일반민에게 친숙한 석가 - 석가의 불상이 만들어지다. 자, 이제 한반도에 직접 관련이 있는 대승 불교쪽 이야기를 전개해보자. 소승불교나 티벳 불교는 우리와 큰 상관이 없으니 관련된 이야기가 나올 때만 언급하고 넘어가겠다. 일단, 대승불교란 무엇인가? 대승불교의 핵심을 짧게 정리하자면 , , 등으로 말할 수 있다. 그럼 하나 하나 정리해볼까나? 대승이란 말 자체가 라는 뜻이다. 그럼, 소승은 겠지? 석가시대의 불교는 출가자들이 문답을 통해 진리를 얻고, 수양과 고행을 적절히 섞어 깨달음을 알아내는 불교였다. 불교를 믿는 출가자들의 목표는 였다. 즉, 깨달음을 위해 정진을 계속하고, 그 결과 에 들어가는 것이 목적이었다. 석가의 이.. 더보기
통일신라 시대의 불교를 총론 형식으로 총정리해 보겠습니다. 통일신라의 불교 사상 이번 장에서는 통일신라에 대한 불교사상을 호국불교의 이념과 대중불교의 이념으로 나누어 간략하게 설명하겠습니다. 중간에 다룬 원광, 자장 대안, 혜숙, 원효와 의상은 이야기는 각 인물 각론에서 상세히 다루기로 하고, 통일 신라 불교의 개념만 다뤄 보도록 합니다. 1. 초기의 불교 : 호국 불교의 이념 신라의 불교는 호국 불교의 성격이 상당히 강합니다. 법흥왕 때 불교를 공인하면서 불교식 왕명을 사용한 신라에서는, 진흥왕 대에 불교 교단을 정비하면서, 불교 교단을 국가 행정 구역과 일원화 시켰습니다. 마치 로마 제국이 기독교 교구를 로마 행정 구역과 일원화 하여 크리스트교를 공인하고 세계종교로 전파한 것과 비슷한 개념입니다. 그러나 동양에서의 종교와 행정구역 일원화는 서구와 같이 와 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