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왕즉불

역사 속의 종교 이야기 <불교 편> - 7화. 불교의 참뜻을 알리려던 고승들 역사 속의 종교 이야기 7화. 불교의 참뜻을 알리려던 고승들 1. 도안(312-385) : 지금 불교에 필요한 것은? 계율이다. 자 지금까지 격의 불교에 대해 설명했다. 격의 불교를 한마디로 정의하자면, 하는 것이다. 부처의 깨달음인 을 도교 사상인 무위자연과 비슷하다고 여기고, 는 식으로 간략하게 설명하는 것이다. 불도징의 제자인 도안(312-385)은 심오한 불교 교리를 대충 때려맞추려는 격의 불교 사상이 싫었다. 격의 불교 사상 때문에 당시 불교는 수준에서 벗어나지 못했기 때문이다. 지식인과 일반 백성 할 것 없이 불교를 다른 종교와 구별하는 것 조차 못하였다. 하안과 왕필 같은 청담 사상가들은 고 이해했을 정도이다. 오히려 논쟁이 된 것은 부처와 노자 중에 누가 먼저 태어난 스승이냐 같은 것이었다.. 더보기
사상 속 역사 여행 2부 공지 - 한국 불교사로 넘어갑니다. 사상 속 역사 여행 2부 공지 - 한국 불교사로 넘어갑니다. 1. 공지사항 사상속 역사여행 1편으로 인도의 불교 성립과정과 역사, 중국에서의 불법과 왕법의 대립 및 종파불교의 성립을 중요한 역사적 사건을 중심으로 다루었습니다. 신중하게 연구해서 적은 것이 아니라 막 쓰다보니 부족한 점이 많네요. 사상 속 역사여행 2-1부 부터 전개될 내용은 한국 불교의 전개과정과 일본 불교의 전개과정입니다. 우리 전통사회의 신앙은 크리스트교나 중국, 일본의 불교와는 약간 다른 을 기반으로 하고 있습니다. 불교 역시 현세구복을 비는 샤머니즘이나 주술적 사상과 많이 융합하였고, 그 융합은 현세구복을 위한 신앙으로 발전합니다. 그러나, 불교의 수용 자체가 삼국시대 왕권 강화를 위한 목적이 있었던 관계로 전통신앙과 불교의 융화.. 더보기
통일신라 시대의 불교를 총론 형식으로 총정리해 보겠습니다. 통일신라의 불교 사상 이번 장에서는 통일신라에 대한 불교사상을 호국불교의 이념과 대중불교의 이념으로 나누어 간략하게 설명하겠습니다. 중간에 다룬 원광, 자장 대안, 혜숙, 원효와 의상은 이야기는 각 인물 각론에서 상세히 다루기로 하고, 통일 신라 불교의 개념만 다뤄 보도록 합니다. 1. 초기의 불교 : 호국 불교의 이념 신라의 불교는 호국 불교의 성격이 상당히 강합니다. 법흥왕 때 불교를 공인하면서 불교식 왕명을 사용한 신라에서는, 진흥왕 대에 불교 교단을 정비하면서, 불교 교단을 국가 행정 구역과 일원화 시켰습니다. 마치 로마 제국이 기독교 교구를 로마 행정 구역과 일원화 하여 크리스트교를 공인하고 세계종교로 전파한 것과 비슷한 개념입니다. 그러나 동양에서의 종교와 행정구역 일원화는 서구와 같이 와 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