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점진론

1876년 조일수호조규(강화도 조약)은 어떤 조약인가? 1876년 조일수호조규(강화도 조약)은 어떤 조약인가? 이번 장에서는 우리나라가 드디어 개항을 이룬 강화도 조약(조일수호조규)의 내용과 그 의미를 한 번 포스트 해보겠습니다. 강화도 조약... 모두 알 것 같으면서도 사실 잘 모르고 있었던 내용이 많은 부분입니다. 1. 조약을 맺게 된 배경 중 국내적인 배경을 살펴보자. 조일수호조규를 맺게 된 배경이 무엇이냐고 묻는다면, 한마디로는 대답하기 어렵습니다. 조선 내부의 상황과 일본 내부의 상황이 복잡하게 얽히고 꼬여있기 때문이지요. 그래도 뭔가 핵심적인 는 있을텐데... 키워드를 찾아봅시다. 먼저, 조약을 맺은 조선 내부적인 키워드는 입니다. 보통 이 을 강조하는 사람들은 강화도 조약이 꼭 일본의 강요라고 보기에는 문제가 있으며, 조선이 스스로 개화하려는 의.. 더보기
개화기 기획 자료 : 흥선대원군의 정책과 역사적 평가 흥선대원군 시대, 격동의 한국사 속에서 어떻게 봐야할까?이번장에서는 흥선대원군이 실시한 정책에 대하여 논의해보려고 합니다. 흥선대원군은 1863년부터 1873년까지 약 10년간 정치를 이끌며 한국 근현대사의 주된 흐름을 이끌어간 사람입니다. 1. 개화와 척사가 난립하고 있었다. 흥선대원군이 집권하기 직전의 한국사회는 개화, 척사라는 두 흐름이 정치 전반에 긴장감을 주던 시기였습니다. 1860년대, 서양에서는 이양선을 보내 아시아 각국에 통상을 요구하고 있었습니다. 또 중국은 서양에 의해 베이징을 점령당했고, 일본은 메이지 유신으로 서양문물을 받아들이기 시작하였습니다. 러시아는 연해주를 차지하여 우리와 두만강을 경계로 국경을 마주하게 되었죠. 우리나라에서도 이러한 세계사적 흐름.. 더보기
일본의 정한론 - 조선에 대한 즉각 공격론 정 한 론 일본인 하치노하 쥰슈쿠란 사람이 홍콩에 체류하며 그 지방 신문에 보낸 기고에서 이렇게 말하였다. - 일성록, 고종 4년 3월 7일 - 지금 황국(일본)은 군사가 많아서 걱정이지 적어서 걱정이 아닙니다. 그러나 각지의 군사가 울분에 빠져 서로 싸우기를 좋아하고 항난 난을 꿈꾸는지라, 혹시라도 내란이 일어나지 않을까 걱정됩니다. 다행히 지금 조선과 문제가 있는 바, 여기에 군대를 사용하면 군사의 울분을 풀어줄 수 있을 뿐 아니라 한번에 조선을 도륙하고 우리 군대의 훈련을 크게 할 수 있어 찬황의 위세를 해외에 크게 떨칠 수 있을 것입니다. 어찌 신속하게 정벌하지 않을 것입니까? - 일본외교문서 3, 메이지 3년, 문서번호 88의 부속서 1 - 명치 이와쿠라공 출발에 팡서 앞날의 일에 대하여 천황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