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스트제도

(플래시 퀴즈) 역사속의 불교이야기 1부. 브라만교 (도서퀴즈) 역사로 정리해보는 불교 이야기 제 1부. 불교 탄생 이전의 종교 이야기 : 브라만교 - 부분입니다. 1-3장까지 핵심 내용을 문제로 만들어 보았습니다. 차한잔 하시면서 풀어보세요. 더보기
역사 속의 종교 이야기 <불교 편> - 3화. 브라만교에 반대하는 사문들과 석가의 불교 탄생 역사 속의 종교 이야기 3화. 전통주의자와 공화주의자들의 대결 속에서 탄생한 석가 1. 철기 시대의 사화 변화와 계급의 성장 최고의 계급인 브라만은 우파니샤드 철학의 이념으로 의 정당성을 과시하려고 했다. 그러나, 기원전 5세기의 인도는 이미 관념만으로 지배 계급의 기득권을 유지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 철기가 보급되고, 생산력이 증가하였다. 따라서, 전사계급이 원하는 것은 였다. 물론, 신관들이 신의 계시를 내리고 전쟁을 도왔다고는 하지만, 전쟁에서 실제 필요한 것은 무력과 경제력이었다. 무력을 가진 자들이 왕족인 크샤트리아 계급이었으며, 재력을 가진 자들은 바이샤 계급이었다. 전쟁은 많은 민족간에 혼혈을 가져온다. 더 이상 순수한 이라는 말은 통하지 않는 세상이 왔다. 크고 작은 부족 국가들이 통합되면.. 더보기
역사 속의 종교 이야기 <불교 편> - 2화. 아리아인의 시대와 인도 초기의 종교들 역사 속의 종교 이야기 2화. 아리아인의 시대와 인도 초기의 종교들 1. 종교는 인간의 염원이 만든 것이 아닌가? 자, 이제 불교 이야기를 해보려고 한다. 그런데, 이 종교 역시 크리스트교와 다를 바가 없다. 모든 종교가 그렇듯, 종교의 시작은 인간의 에서 시작된다. 역사가 인간들의 이야기이듯, 신과 종교의 탄생 역시 인간들의 당시 사회상에서 벗어날 수 없다. 각 종교에서는 그것을 신이 내린 이라고 말하겠지만, 그것은 앞뒤가 바뀐 말일 수도 있다. 신과 종교를 만든 것은 인간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종교의 교리가 확립되는 것 역시 당대의 을 해결하고자 하는 인간의 의지 때문이었다. 유대인들이 의 강림을 바랬던 열망은, 철기 시대에 접어오면서 심해진 핍박 때문이었다. 지금 인도에서 시작하려는 새로운 종교 .. 더보기
일본사 이야기 21 - 역사의 흐름은 유통경제의 발달이었다. 일본사 이야기 21 - 역사의 흐름은 유통경제의 발달이었다. 1. 막부의 중농정책과 떠오르는 상인들 에도막부는 다른 막부들 보다 훨씬 더 철저한 중농정책을 실시한 막부였습니다. 이전 가마쿠라 막부가 국내외 무역을 통한 재정 확보를 중시한 것과는 달리, 에도막부는 사회 분위기를 엄격하게 통제하고, 어느 정도 잉여생산물이 축척된 농업 자본을 막부의 재산으로 삼았습니다. 직업의 근간은 농업이었고, 성리학적 분위기에 의해 상공업은 천시되었습니다. 그러나 17세기 이후, 발전하는 사회 경제적 변화를 막부가 감당하기에는 역부족이었습니다. 농업기술의 발달과 중국, 조선에서 선진 농법이 계속들어오면서 농경지의 면적은 계속 증가하고, 개간이 계속 이루어졌습니다. 조선 시대 후기에 광작(넓은 영토를 가지고 농사짓는 것)이.. 더보기
일본사 이야기 19 - 에도막부의 등장과 문물 정비 일본사 이야기 19 - 에도막부의 등장과 문물 정비 1. 에도 막부의 철저한 신분제도 에도막부를 창립한 도쿠가와 이에야스와 그 자손들은 막부를 창립하고 바로 영주(다이묘)들에 대한 통제정책에 들어갔습니다. 일단, 막부 자체를 에도라는 수도에 세움으로서 중앙에서 막부가 지방을 총괄하는 식으로 통제하고, 반발하는 자들을 찍어눌러 전국시대와 같은 혼란이 다시는 일어나지 않도록 하였죠. 1,2,3대 막부의 쇼군들은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모든 분야에서 철저한 통제정책을 실시하였습니다. 일단 에도막부는 일본판 카스트 제도라고 할 만큼 철저하게 신분과 계급을 구분해 놓았습니다. 막부의 계급은 4계급으로 최고 계급은 무사, 다음으로 생산자인 농민, 그 밑으로 수공업자, 상인층이 존재하는 계급구조였죠. 무사는 .. 더보기
불교이야기 1-1장. 인도에서 불교가 시작되다 동아시아 불교 전파사 - 1장. 인도에서 불교가 시작되다 이번 페이지는 특별 기획으로 몇 편의 시리즈로 다루어 적어보겠습니다. 시리즈라고 해보았자, 생각나는 대로 적어서 오늘 출근 전에 다 마무리 하겠지만, 그래도 양은 많으니깐 시리즈가 되겠네요. 일단, 대학 때 모아논 자료들과 틈틈이 메모해논 자료들을 모두 꺼내놓고, 불교사에 대한 을 포스팅 하려 합니다. 순서는 인도의 불교 - 중국의 불교 - 한국의 불교 - 일본의 불교 전파 과정으로 다루어 보고, 동남아시아나 소승불교 이야기는 차후 문제로 넘기도록 하죠. 이 포스트는 불교에 대한 종교사가 아니라, 불교가 아시아에 전파되면서 어떠한 역사적 상황을 만들었는가에 대한 역사적 관점의 포스트입니다. 예전 기독교사나 카톨릭사를 포스팅할 때 처럼 종교적 관점에.. 더보기
일본사 이야기 6 - 소가씨 이야기와 다이카 개신 소가씨 이야기 1. 불교 수용과 소가씨의 주장 일본 고대 초기인 6-7C를 파악하기에 가장 적합한 소재는 소가씨입니다. 일본 고대 초기의 야마토 정권은 유력 호족들이 연합한 상태에서 서로간의 합의에 의해 천황을 가장 신성한 권력자로서 모시는 구조였습니다. 일본의 천황은 이러한 유력 호족들에 의한 정권을 탈피해서 야마토 정권을 천황중심의 강력한 국가로 만들고 싶어했지요. 그 당시 국제 정세는 중국, 백제, 신라, 고구려 모두 불교 수용을 통해 강력한 중앙집권국가를 구축했으므로, 천황은 백제 성왕으로부터 불교를 수용하여 불교를 통한 국가통합을 추진하려 했습니다. 불교는 인도에서도 카스트 제도를 초월한 만민 평등 사상을 바탕으로 한 교리가 국민 통합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 불교에서의 절대적인 구원의 신인 미.. 더보기
신라 골품제도에 대한 분석 신라 골품제도에 대한 분석 1. 골품제도는 언제부터 형성되었는가? 골품제도는 신라 지배층내에서의 관등제도입니다. 이것은 신라 초기 독자적 영역세력인 층(족장, 군장층)을 신라 지배체제 내로 끌어들이면서, 상호 혈연성과 세력 규모에 입각하여 지배세력의 서열을 정한 것입니다. 따라서 골품제도는 신라라는 국가가 체제정비를 한 바로 직후 시기부터 그 골격이 등장합니다. 초기에는 12등급의 서열로 관등을 정했는데, 신라사회가 체계를 잡아가던 법흥왕기에 17관등제로 관등제를 정비하면서 골품제도가 서서히 정비됩니다. 따라서 골품제도란, 어느 한 시기에 카스트 제도처럼 법칙적으로 그 사회를 규정한 제도가 아니라, 신라 사회가 변동하는 방향성에 맞추어 계속 변화하면서 정비된 제도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골품제도는 신라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