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무왕

<고사속 역사여행1> 너의 원수를 사랑하라! 예수의 가르침과 고대 법 너의 원수를 사랑하라! 는 예수의 가르침과 고대 법 1. 고대 법의 대표적 사례 - 모세 는 유명한 말은 성인인 예수의 말입니다. 하지만, 지금까지 성경이나 예수에 대한 일화는 사이트 내에서 가급적 언급을 피해왔습니다. 잘못 말했다가는 폭탄맞을까봐서요... 하지만, 성경의 내용도 역사적으로 보면 재미있게 접근할 내용들이 너무 많습니다. 성경의 내용을 오늘은 고대법으로 한번 접근해볼께요. 고대법은 서양과 동양을 막론하고 대부분의 모든 법이 보복주의, 복수주의, 중형주의, 농경주의적인 법입니다. 예를 들어 볼까요? 고조선의 8조법.... 사람을 죽은 자는 죽이고, 다치게 한자는 곡물로서 갚아라 등이 있죠. 함무라비 법전.... 목수가 지은 집이 부서져 사람이 죽으면 목수를 죽이고, 아들이 죽었으면 목수의 아.. 더보기
신문왕의 전제왕권 2 - 중앙집권화를 위해 귀족권을 억압하다. 신문왕의 전제왕권 2 - 중앙집권화를 위해 귀족권을 억압하다. 이번 파트부터는 통일신라 전제왕권을 완성한 신문왕에 대한 포스팅을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분야로 나누어 다양한 각도에서 포스팅하겠습니다. 신문왕을 자세히 포스팅하는 이유는 신문왕 자체가 통일신라의 문물을 정비하고, 완성한 사람이므로 신문왕을 로 하여 통일신라의 전성기 체제를 바라보면 이해가 쉽기 때문입니다. 이번 장에서는 신문왕기의 정치사를 정리해 봅시다. 1. 전제왕권의 성립 배경 지난 장에서 전제왕권을 정의내릴 때, 국왕의 1인 독재권이 아닌 이라는 점을 강조하였습니다. 그럼 이러한 중앙집권적 전제왕권이 성립된 배경은 무엇일까요? 그것은 다름 아닌 삼국통일에서 그 핵심 배경을 찾을 수 있습니다. 삼국통일기 신라는 가 계속되었습니다. 고.. 더보기
신문왕의 전제왕권 1 - 집사부 체제를 완성하다 통일신라시대와 신문왕의 전제왕권 1 - 집사부 체제를 완성하다 이번 파트부터는 통일신라 전제왕권을 완성한 신문왕에 대한 포스팅을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분야로 나누어 다양한 각도에서 포스팅하겠습니다. 신문왕을 자세히 포스팅하는 이유는 신문왕 자체가 통일신라의 문물을 정비하고, 완성한 사람이므로 신문왕을 로 하여 통일신라의 전성기 체제를 바라보면 이해가 쉽기 때문입니다. 그럼 시작해보죠. 1. 통일이 되면서 가 강화되다 신라가 삼국통일이 된 것은 무열왕, 문무왕기를 거치면서입니다. 실제 나당전쟁후의 676년 삼국통일은 문무왕기에 이루어졌습니다. 문무왕이 삼국통일을 완성하면서 그 아들인 신문왕은 이라는 2가지 과제를 안고 등극하였습니다. 신문왕은 먼저 체제가 발전해오던 기존의 신라 제도를 확고히 합니다... 더보기
삼국통일 후 민족융합정책 삼국통일 후 민족 통일 정책과 삼한 일통의식의 표현 문무왕이 고구려의 반란 무리들을 받아들이고, 또 백제의 옛 땅을 점거하여 관인을 보내 지키게 하니, 당 고종이 크게 노하여 왕의 관작을 박탈하고, 당시에 당의 경사(京師)에 있던 왕의 아우 우요위원외대장군임해군공(右饒衛員外大將軍臨海郡公) 인문(仁問)을 세워 신라왕으로 삼아 귀국하게 하고, 좌서자동중서문하삼품(左庶子同中書門下三品) 유인궤(劉仁軌)로 계림도대총관(鷄林道大摠管)을 삼고, 위위경(衛尉卿) 이필(李弼)과 우령군대장군(右領軍大將軍) 이근행(李謹行)으로 부관을 삼아 군사를 발하여 신라를 토벌하게 하였다. (《三國史記》7, 新羅本紀7 文武王 14年) 처음에 신라는 고구려·신라와 경계가 들쭉날쭉 혼란하여 혹은 서로 화친하고 혹은 서로 노략질하였는데, 나.. 더보기
취리산의 회맹 사료 취리산의 회맹 문무왕이 당나라 칙사 유인원과 웅진도독 부여룽과 더불어 웅진 취리산(공주 연미산)에서 화친을 맹약하였다. 당 고종이 부여륭에게 명하여 본국에 돌아가 나머지 무리를무마하는 한편 신라와 화친하게 하였다. 이 때 백마를 희생으로 삼아 서맹을 약속했는데, 천지의 신과 천곡의 신에게 제사하고 피를 입술에 발랐다. 삼국사기 권 6, 신라본기 6 문무왕 5년(665) ------------------------------------------------------------------------------------- 사료해석 : 백제 부흥운동을 진압하면서 당나라는 자신들의 인질인 부여의 왕자 률을 웅진 도독에 임명하였습니다. 이것은 신라의 백제 포용정책을 적극 견재하면서 당나라가 백제의 지배권을 가지.. 더보기
신라의 삼국 통일 후 민족융합 정책 통일 후 민족 융합 정책 처음에 신라는 고구려·신라와 경계가 들쭉날쭉 혼란하여 혹은 서로 화친하고 혹은 서로 노략질하였는데, 나중에 당과 함께 두 나라를 쳐서 멸하여 그 지역을 평정하고 드디어 9주를 두게 되었다. 본국(신라)의 경계 안에 3주를 두고… 백제의 옛 영역에 3주를 두고… 옛 고구려의 남쪽 지역에 3주를 두었다. - 삼국사기 34, 잡지 3, 지리 1 - 22일에 왕이 돌아와 논공(論功)하였다. 백제인들도 다 그 재능에 따라 임용하였으니, 좌평(佐平)인 충상(忠常)·상영(常永)과 달솔(達率)인 자간(自簡)에게는 일길찬(一吉瑗)의 관위를 주어 총관(摠管)의 직에 임명하고, 은솔(恩率) 무수(武守)에게는 대나마(大奈麻)의 관위를 주어 대감(大監)의 직에 임명하고, 은솔 인수에게는 대나마의 관위를.. 더보기
통일 후 나당전쟁 - 신라와 당과의 갈등 고조 통일 후 당과의 갈등 급찬(級瑗) 기진산(祇珍山) 등을 당에 보내어 자석 두 상자를 바치고, 또 각간(角干) 흠순(欽純)과 양도(良圖)를 당에 보내어 사죄하였다. - 삼국사기 6, 신라본기 6, 문무왕 9년 5월 - 문무왕이 고구려의 반란 무리들을 받아들이고, 또 백제의 옛 땅을 점거하여 관인을 보내 지키게 하니, 당 고종이 크게 노하여 왕의 관작을 박탈하고, 당시에 당의 경사(京師)에 있던 왕의 아우 우요위원외대장군임해군공(右饒衛員外大將軍臨海郡公) 인문(仁問)을 세워 신라왕으로 삼아 귀국하게 하고, 좌서자동중서문하삼품(左庶子同中書門下三品) 유인궤(劉仁軌)로 계림도대총관(鷄林道大摠管)을 삼고, 위위경(衛尉卿) 이필(李弼)과 우령군대장군(右領軍大將軍) 이근행(李謹行)으로 부관을 삼아 군사를 발하여 신라를 .. 더보기
문무왕과 대왕암 대왕암 - 문무왕 문무왕은 나라를 다스린 지 21년만인 영륭(永隆) 2년 신사(辛巳)에 세상을 떠났는데 유언에 따라 동해의 큰 바위 위에 장사지냈다. 왕은 평시에 항상 지의법사(智義法師)에게 말하였다. "나는 죽은 후에 나라를 지키는 큰 용이 되어 불법을 받들어서 나라를 지키려 하오" - 삼국유사 2, 기이편 2, 문무왕 - 참고글 : 삼국을 통일한 문무왕에 관한 이야기입니다. 대왕암은 경북 경주시 양북면(陽北面) 봉길리(奉吉里) 앞바다에 있는 신라 문무왕의 수중릉(水中陵)입니다. 삼국통일을 완수한 문무왕이 유언으로, 자신의 시신(屍身)을 불식(佛式)에 따라 고문(庫門) 밖에서 화장하여 유골을 동해에 묻으면, 용이 되어 동해로 침입하는 왜구를 막겠다고 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유해를 동해의 대석(大石)에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