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륜성왕

역사 속의 종교 이야기 <불교편> - 16화. 고구려의 불교 이야기 역사 속의 종교 이야기 16화. 고구려의 불교 이야기 1. 불교가 원시 신앙을 대신하다. 자, 이번 회부터의 불교 이야기는 우리 역사 속의 불교 이야기이다. 그럼 시작해볼까? 한반도의 불교 이야기는 인도나 중국 이야기처럼 재미있는 일화로 구성하기가 힘들다. 특히, 고대 불교는 삼국사기, 삼국유사, 해동고승전 등 일부 자료와 중국측 기록 외에는 남아있는 것이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누가 불교 이야기를 적더라도 거기서 거기일 수밖에 없는 현실을 감안해야 한다. 일단, 삼국유사에 따르면 불교는 고구려 소수림왕 2년(372)에 전진왕 부견이 승려 순도를 통해 불상과 불경을 전파했기 때문에 공식적으로 시작되었다고 한다. 그리고 2년 뒤 아도화상이라는 스님이 다시 건너오자 성문사에 순도를, 이불란사에 아도를 머물.. 더보기
역사 속의 종교 이야기 <불교 편> - 13화. 정토종 : 정통 미륵에서 벗어난 아미타 부처 역사 속의 종교 이야기 13화. 정토종 : 정통 미륵에서 벗어난 아미타 부처 1. 복잡한 인도 철학을 벗어나 민중의 신앙으로... 자, 지금까지 우리는 중국으로 전파된 대승불교 철학을 살펴보았다. 위진시대의 불교 수준은 노자 사상으로 부처를 이해하는 수준이었다. 그러나, 인도 대승 불교의 핵심사상이었던 , 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지면서 불교와 도교는 선후 논쟁을 벌였고, 그 결과 수, 당의 통일국가에서는 여러 종파 불교가 등장하였다. 그리고, 당나라에서는 많은 종파의 이념을 하나로 묶으려는 화엄종이 성행하였다. 하지만, 이 과정은 모두 사상의 본질을 이해하기 위한 노력이었다. 즉, 인도 불교의 참뜻을 알기 위해 철학적으로 불교를 접근한 것이다. 이렇게 사상을 이해하기 위해 철학적으로 접근한 종파들을 묶어 .. 더보기
역사 속의 종교 이야기 <불교 편> - 3화. 브라만교에 반대하는 사문들과 석가의 불교 탄생 역사 속의 종교 이야기 3화. 전통주의자와 공화주의자들의 대결 속에서 탄생한 석가 1. 철기 시대의 사화 변화와 계급의 성장 최고의 계급인 브라만은 우파니샤드 철학의 이념으로 의 정당성을 과시하려고 했다. 그러나, 기원전 5세기의 인도는 이미 관념만으로 지배 계급의 기득권을 유지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 철기가 보급되고, 생산력이 증가하였다. 따라서, 전사계급이 원하는 것은 였다. 물론, 신관들이 신의 계시를 내리고 전쟁을 도왔다고는 하지만, 전쟁에서 실제 필요한 것은 무력과 경제력이었다. 무력을 가진 자들이 왕족인 크샤트리아 계급이었으며, 재력을 가진 자들은 바이샤 계급이었다. 전쟁은 많은 민족간에 혼혈을 가져온다. 더 이상 순수한 이라는 말은 통하지 않는 세상이 왔다. 크고 작은 부족 국가들이 통합되면.. 더보기
불교이야기 1-4장. 위진남북조에 불교가 유행하다 동아시아 불교 전파사 - 4장. 위진남북조에 불교가 유행하다 네 번째 이야기에서는 이제 중국으로 넘어간 불교에 대하여 이야기하겠습니다. 인도 불교는 4세기 까지가 주요 흐름이었고, 중국 불교는 2세기부터가 본격적인 불교시작부분입니다. 1. 왜 위진남북조에서 불교가 유행했는가? 중국에 불교가 전파된 것은 전한 말 실크로드를 통해 서역에서 흥미로 들어온 것이 기원입니다. 그러나 한나라의 불교는 한무제의 정책에 의해 억압받았고, 후한이 망할 때까지 불교사상이 중국에서 제대로 이해된 적이 없었습니다. 실제 중국에서 외래 종교인 불교에 관심을 가지게 된 것은 이민족 왕조인 5호 15국 시대 부터입니다. 하지만, 불교에 대한 관심은 학문적인 심오한 철학에 대한 것이 아니였고, 단지 혼란한 사회상에 불교의 라는 부분.. 더보기
불교이야기 1-3장. 세계법왕이 등장하다 동아시아 불교 전파사 - 3장. 세계법왕이 등장하다 세 번째 이야기에서는 인도의 마우리아 왕조의 불교 전파 개념과 이후 인도불교가 중국 불교로 넘어가는 과정을 간략히 포스팅 해보겠습니다. 1. 기원전 4세기 - 전륜성왕이 등장하다 기원전 5세기 마가다국에 의해 보호받던 인도의 불교는 기원전 4세기 마우리아 왕조가 북인도 전체를 통일하면서 또 하나의 변혁기를 맞이합니다. 마우리아 왕조는 마가다국과는 다른 규모의 북인도 전체 통일왕조였습니다. 따라서 석가가 주장한 연기설 정도의 부족단위 통합 논리는 이제 마우리아 왕조에서는 통하지 않습니다. 이제는 모든 국가와 민족을 통합할 통일왕조의 이념이 필요한 시점이었습니다. 이 통일왕조의 이념은 기원전 4-3세기로 접어들 때 즉위한 3대 아쇼카왕 때 이념으로 정립됩니.. 더보기
통일신라 시대의 불교를 총론 형식으로 총정리해 보겠습니다. 통일신라의 불교 사상 이번 장에서는 통일신라에 대한 불교사상을 호국불교의 이념과 대중불교의 이념으로 나누어 간략하게 설명하겠습니다. 중간에 다룬 원광, 자장 대안, 혜숙, 원효와 의상은 이야기는 각 인물 각론에서 상세히 다루기로 하고, 통일 신라 불교의 개념만 다뤄 보도록 합니다. 1. 초기의 불교 : 호국 불교의 이념 신라의 불교는 호국 불교의 성격이 상당히 강합니다. 법흥왕 때 불교를 공인하면서 불교식 왕명을 사용한 신라에서는, 진흥왕 대에 불교 교단을 정비하면서, 불교 교단을 국가 행정 구역과 일원화 시켰습니다. 마치 로마 제국이 기독교 교구를 로마 행정 구역과 일원화 하여 크리스트교를 공인하고 세계종교로 전파한 것과 비슷한 개념입니다. 그러나 동양에서의 종교와 행정구역 일원화는 서구와 같이 와 교.. 더보기
일본사 이야기 3 - 일본 고대사를 한 눈에 개관해보기!! 일본 고대사를 총체적으로 개관하고 시작힙니다. 1. 일본 고대사를 바라보는 키워드는? 일본 고대사를 정리할 때 이것으로 시작되어, 이것으로 정리된다고 한마디로 요약해봅시다. 여기서 말하는 이것이란? 답은 불교와 율령입니다. 우리나라 삼국시대를 정리할 때도 불교수용, 율령반포를 고대사의 키워드로 활용하는 것처럼 일본사 역시 불교, 율령이 일본 고대사를 정리하는데에는 최고의 키워드라고 보면 됩니다. 이 두가지는 왕권강화를 위해 필수적인 것입니다. 우리나라에서도 신라 진흥왕이 스스로를 전륜성왕이라고 우기면서, 부처는 곧 왕이라는 왕즉불 사상과 신라 진골귀족은 부처의 일족인 크사트리아족이라는 이념으로 백성들을 통합하고, 국가 이념을 정비한 적이 있습니다. 일본은 더 심합니다. 불교라는 종교 자체가 곧 중앙집권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