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1882년. 임오군란이 조선에 미친 영향에 대한 글 1882년. 임오군란이 조선에 미친 영향에 대한 글 1. 1882년이 나타내는 시대적 상징은 무엇인가? 이번 장에서는 임오군란에 대하여 이야기 하려고 합니다. 임오군란 하면 보통 이라고 알고 있고, 또 교과서에서도 그렇게 설명하고 있습니다. 시시콜콜 다 아는 이야기, 교과서에 써 있는 이야기를 굳이 또 적을 필요가 있을까... 고민끝에 이번 포스트에서는 임오군란을 1882년이 가지는 상징성을 가지고 다른 각도에서 바라보도록 하겠습니다. 임오군란이 과연 군란인가? 이런 주제로요. 일단 지난 장까지 설명했던 이라는 부분을 복습해 놓으세요. (그림 1) 임오군란 때의 격전지 모습 임오군란이 일어난 1882년의 조선은 국론이 분열되고, 국가 체제가 동요하는 시기였습니다. 그 이유는 1880년 조선 책략이 유입되.. 더보기
(근현대사 16장) 1894년 갑오개혁 - 1차 개혁의 내용 1894년 갑오개혁 - 1차 개혁의 내용 1. 갑오개혁은 여러 이권이 맞물려 시작되었다. 보통 갑오개혁을 이야기할 때, 자주적이었는가, 의세의존적이었는가를 많이 이야기 합니다. 1차 갑오개혁은 일본에 의해 시작되었지만, 비교적 조선 관리들에 의해 차분히 진행되었습니다. 1차 개혁으로 조선의 근대화가 어느 정도 이루어진 것은 평가할 만 합니다. 1차 개혁에서 일본의 역할이 왜 축소되었는지는 지난 파트에서 설명하였습니다. 부연하지면, 동학농민운동이 전주화약으로 평화롭게 끝나가는 것을 일본이 방관하지 않았고, 일본은 조선의 개혁을 강요하였습니다. 그러나, 청과 조선이 그것을 적극 반대하였기 때문에 일본은 무력으로 개혁을 강요하였습니다. 조선의 경복궁을 점령하고 청에게 군사적인 협박을 시작한 것이죠. 그러나, .. 더보기
(근현대사 15장) 갑오개혁(1894)의 추진배경 갑오개혁(1894)의 추진배경 1. 1894년... 왜 개혁이 필요했는가? 오늘부터 전개할 이야기는 갑오개혁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갑오개혁은 1894년에 1, 2차 개혁을 하였고, 그 다음해인 을미년에 3차로 을미개혁을 하였습니다. 이 개혁으로 조선은 서구식 근대화를 이루게 되었지만, 부작용도 많았습니다. 그럼 이 개혁이 이루어진 배경을 한번 볼까요? 갑오개혁은 우리 정부가 주체적으로 추진했다는 과 일본에 의해 강제로 추진했다는 의 시각이 있습니다. 이번 나중에 다루고 이번 장에서는 이 2가지를 적절히 다루어 보도록 하죠. 갑오개혁은 조선인 스스로 개혁을 해야 한다는 의 개혁의지가 1894년 반영되었다는 점이 일단 중요합니다. 그동안 조선은 개혁을 추진하려는 세력과 그것을 막으려는 보수세력이 혼재해 있었.. 더보기
(근현대사14장) 동학농민운동 4 - 동학농민운동의 논점들과 폐정개혁안의 취지 동학농민운동 4 - 동학농민운동의 논점들 1. 동학농민운동의 명칭은? 1894년의 동학교도와 농민들의 운동을 동학농민운동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동학농민운동이란 말은 교과서에서 쓰는 말입니다. 개론서와 각 단체의 입장은 다릅니다. 먼저, 동학농민운동이 동학 교도들의 종교운동으로 생각하는 사람들은 이 사건을 이라고 합니다. 동학 교단과 비교적 보수주의적인 역사학자들의 입장입니다. 당시 운동은 최시형 등을 중심으로 한 동학이 주도하였고, 동학의 포접제, 집강소 등이 사건의 중심을 이루는 기구였기 때문에 동학운동이 맞다는 논리이지요. 그러나, 사회경제사를 연구하는 역사학자들과 진보적인 역사학자들은 이 사건은 으로 부릅니다. 그 이유는 사건이 일어난 이유 자체가 사회모순에서 비롯된 것이었고, 전국적으로 농민들이.. 더보기
근현대사 12장) 동학농민운동 2부 - 1894년 1차 동학농민운동의 전개 동학농민운동 2 - 1894년의 동학농민운동의 전개 1. 동학농민운동의 전개 오늘 적을 내용은 동학에 대한 2번째 이야기로 1894년, 동학농민운동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1894년 어떤 일이 있었는지 그럼 한번 출발해 볼까요? 지난 시간에 이야기했듯이 동학은 1850년대 후반부터 그 세력을 키워왔습니다. 최제우가 혹세무민이라는 성리학적 명분에 의해 죽고난 이후 교조신원운동을 전개하면서 동학은 그 힘을 키워가고 있었습니다. 이필제의 난 등을 겪으면서 동학은 점차 사회, 정치 운동까지 가담하게 되었습니다. 1870년대의 동학은 흥선대원군 대신 친일적인 성향의 민씨 정권이 들어서면서 반봉건 운동을 일으킬 명분도 있었습니다. 그러나, 동학은 1862년 임술농민봉기 등 정부에 의해 크게 진압당해본 경험을 알고 있.. 더보기
(근현대사 10장) 청과 일본이 조선의 경제권을 놓고 다양한 조약을 맺다. 청과 일본이 조선의 경제권을 놓고 다양한 조약을 맺다. 1. 정치적 침략 못지 않게 경제적인 침략이 중요하였다. 1880년대 조선에서는 청과 일본이 조선의 주도권을 놓고 정치적으로 대립하던 시기였습니다. 초기 임오군란과 갑신정변 까지만 해도 청이 조선에서 전통적인 주도권을 계속 유지하고 있었지요. 하지만, 그 대립은 1894년 동학운동 당시 청일전쟁 기점으로 일본에게 정치적 주도권이 넘어갑니다. 청과의 정치적 대립에서 승리한 일본은 이후 조선이 러시아를 통해 일본을 견재하려고 하자 을미사변 등을 일으켜 조선의 주도권을 유지하였고, 1904년 러일 전쟁을 계기로 조선에서 일본의 주도권을 확실하게 인정받습니다. 러일전쟁 직후, 을사조약이 체결되었고, 1910년 한일합방이 이루어진 것이지요. 이렇게 일본은 조.. 더보기
(근현대사7) 개화파는 어디에서 시작되었는가? 개화파는 어디에서 시작되었는가? 1. 개화란 말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이번 파트에서 이야기할 내용은 개화파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흔히 개화파에 대한 이야기를 할 때, 그 배경만 간단히 설명하고 갑신정변을 주로 다루곤 합니다. 하지만, 개화파가 하늘에서 떨어지지 않은 이상 그 기원이 있었겠죠? 자 지금부터 전개할 이야기는 개화파의 기원에 대한 이야기부터입니다. 개화파를 알기 위해서는 란 말이 무엇인지부터 알아야 합니다. 객이 나에게 물었다. 내가 답하였다. - 황성신문 논설, 광무 2년(1898) 9월 23일 - 무릇 개화란 인간의 온갖 만물이 가장 아름다운 경지에 이르는 것을 일컫는데, 개화에는 인륜 개화, 학술 개화, 정치 개화, 법률 개화, 기계 개화, 물품 개화가 있다. 인륜 개화는 천하만국을 통하.. 더보기
한국 근대의 시작인 개화기에 대한 개관 한국 근대의 시작인 개화기에 대한 개관 오늘부터 다룰 부분은 한국 근현대사입니다. 그 중 맨 처음으로 개화기의 중요한 역사적 흐름과 사건을 주제별로 묶어서 포스팅 하보도록 하죠. 오늘은 그 첫 번째로, 1860~1900년대까지 개화기의 전반적 흐름을 개관하는 포스트를 작성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시작해 볼까요? 1. 1870~80년대 한국사의 주된 흐름 1880년대의 한국사를 한마디로 정리할 수 있는 키워드는 과 함께 시작된 입니다. 한국사회에서 1850년대는 세도정치의 여파로 각종 농민봉기가 일어나고, 사회모순이 극에 달해있던 시기였습니다. 또 밖으로는 서양의 이양선이 출몰하여 통상을 요구하는 한편, 중국, 일본, 러시아와의 관계가 서구의 아시아 진출로 인하여 또 다시 재정립되는 시기였습니다. 186.. 더보기
중국사 이야기 32 - 중국 역대 왕조의 황제지배체제의 개요 중국사 이야기 32 - 중국 역대 왕조의 황제지배체제의 개요 이번 장에서는 진나라가 최초로 황제지배체제를 실시한 이후 중국 역대 황제지배체제를 간략히 다뤄보고 그와 연결 된 옥세제도에 대해 말해볼겠습니다. 1. 중국의 황제지배체제 : 이론적 근거 1 - 법가사상 황제지배체제가 성립된 것은 춘추전국시대 부국강병을 이루기 위해 강력한 법가적 변법을 실시하면서 가 이루어진 시기와 일치합니다. 황제지배체제의 근간은 법가인데, 초기 진시황의 황제지배체제는 오로지 법가사상만으로 제민을 완성하려 했으므로, 쉽게 무너진 경향이 있습니다. 이후 한나라의 무제는 유교의 가부장적인 군주관과 민간의 신비주의(동중서의 천인상응론 등)까지 이용하여 황제지배체제의 이념을 완성하였습니다. 그럼 황제지배체제의 근간을 이룬 법가사상의 .. 더보기
병자호란 때 청 태종이 인조에게 보낸 굴욕적인 편지 내용 청 태종이 병자호란 때 남한산성에 숨은 인조에게 보낸 편지 원문 1. 주요 내용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