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퀴즈풀이/역사 사료와 데이터

중국사에 나오는 한국사 자료들 - 삼국지 동이전 예 편

중국사에 나오는 한국사 자료들 - 삼국지 동이전 예 편

  예는 남쪽은 진한과 연접되었고, 북쪽은 고구려, 옥저와 연해 있다. 그리고 동쪽은 큰바다에 닿아 있다. 지금의 조선 동쪽은 모두 그 예 땅이다. 호수는 이만이나 된다.

  옛날 기자가 조선에 가서 여덟 가지 조목의 가르침을 만들어 가르쳤다. 그랬기 때문에 문을 닫지 않고 자도 민가에는 도둑이 없었다.

  그 뒤 사십여 대를 지나 조선후 준이 참람되히 왕이라 일컫자 진승 등이 일어나소 온 천하가 모두 진나라에 반기를 들게 되었다. 이리하여 연나라, 제나라, 조나라 백성들이 난을 피하여 조선으로 옮겨 오게 되었으니 그 수효는 여러 만 명이 되었다. 이 때 연나라 사람 위만이 북상투에 오랑캐 옷 입고 다시 여기에 와서 왕노릇했다.

  한나라 무제가 조선을 쳐서 멸하고 그 땅을 쪼개서 네 군으로 만들었다. 이로부터 오랑캐와 한나라가 차츰 구별이 생기기 시작했다.

  여기에는 대군장은 없고, 한나라 시대 이후로 벼슬 이름은 후, 읍군, 삼로가 있어서 아래 백성들을 다스려 왔다.

  그 지방 노인들이 옛날부터 전하는 말에 의하면, 그곳 인종은 구려와 같다고 한다.

  또 사람들의 성질을 보면, 솔직하고 매사에 성의가 있으며, 욕심은 적고 염치가 있다. 말하는 것과 법률과 풍속은 대체로 구려와 같고 의복만은 일절 다르다. 남자나 여자는 모두 곡령을 입고, 특히 남자는 허리에 은화를 차는데 넓이가 여러 치가 된다. 이것으로 장식 삼아 다는 것이다.

  단단대령 서쪽은 낙랑에 소속되었고, 고개 동쪽 일곱 현은 도위를 두어 다스리게 한다.

  이 지방 백성은 모두 예 땅 백성인데, 뒤에 와서는 도위를 없애고 그곳 우두머리를 뽑아 후를 삼아 다스리게 했다. 지금의 불내, 예는 모두 그 종족들이다. 그러나 한나라 말년에 와서는 다시 구려에 소속되었다.

  그들의 습관은 산천을 몹시 소중하게 여긴다. 산천에는 각각 부분이 따로 있어 아무나 함부로 출입하고 상관하지 못한다.

  같은 성끼리는 혼인을 하지 못한다. 그리고 이 밖에도 꺼리는 것이 몹시 많다. 식구가 몹시 앓거나 죽으면 살던 집은 버리거나 헐어 버리고 다시 새 집을 짓는다. 삼을 심어 마포를 짜고 누에를 쳐서 비단을 짜서 입는다. 새벽이면 별의 방위를 보아 그 해의 풍흉을 점친다. 그들은 구슬이나 옥을 보배로 여기지 않는다.

  해마다 十월이면 하늘에 제사를 올리는데, 이 때에는 밤낮으로 술 마시고 노래 부르고 춤 추면서 논다. 이것을 무천이라고 한다. 또 그들은 범을 신으로 여기고 제사를 올린다.

  부락끼리 서로 침범하는 일이 있으면 문득 이것을 죄 주어 그 벌로 소나 말을 내놓도록 한다. 이것을 이름하여 책화라고 한다. 또 사람을 죽인 자는 반드시 죽인다. 그래서 역시 도둑이 별로 없다.

  이들은 길이 세 길이나 되는 긴 창을 만들어 혹 이것을 몇 사람이 함께 가지고 쓰기도 한다. 그래서 이들은 보전을 잘한다.

  낙랑과 단궁이 이 땅에서 났고, 그 바다에서는 얼룩거리는 물고기 가죽이 난다. 또 얼룩진 표범이 나고 과하마가 난다.

  박물지 위도부에 보면, 이 과하마는 높이가 겨우 삼척밖에 되지 않기 때문에 실과나무 밑으로도 타고 다닐 수가 있어서 이것을 과하마라고 한다고 했다.

  정시 육년에 낙랑태수 유무와 대방태수 궁준이 동쪽예가 구려에 소속되었다 해서 군사를 일으켜 정벌했다. 이에 불내후 등이 온 고을을 들어 여기에 항복했다.

  정시 육년에 이들이 대궐에 나와 공물을 바치자 다시 조서를 내려 불내를 봉하여 예왕을 삼았다. 이로부터 그는 민간들 틈에 섞여 살면서 사시로 군에 나와 조알했다. 두 군은 군사의 일이나 세금을 바치는 일, 부역 시키는 일 등을 모두 일반 백성과 똑같이 대우했다.(三國志)

이 글에 대한 참조사항

1. 이 글에 대한 관련 사료는 이 사이트 검색창에서 자유롭게 검색가능합니다.(관련 검색어로 검색하세요)
   2. 이 글을 운영자 허락없이 불펌할 경우 티스토리에서 제공하는 <원저작자 로고>가 펌글에 자동 삽입됩니다.

 <http://historia.tistory.com 역사전문블로그 히스토리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