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퀴즈풀이/히스토리아 역사 스토리

불교이야기 1-3장. 세계법왕이 등장하다

동아시아 불교 전파사 - 3장. 세계법왕이 등장하다

세 번째 이야기에서는 인도의 마우리아 왕조의 불교 전파 개념과 이후 인도불교가 중국 불교로 넘어가는 과정을 간략히 포스팅 해보겠습니다.

1. 기원전 4세기 - 전륜성왕이 등장하다

기원전 5세기 마가다국에 의해 보호받던 인도의 불교는 기원전 4세기 마우리아 왕조가 북인도 전체를 통일하면서 또 하나의 변혁기를 맞이합니다.

마우리아 왕조는 마가다국과는 다른 규모의 북인도 전체 통일왕조였습니다. 따라서 석가가 주장한 연기설 정도의 부족단위 통합 논리는 이제 마우리아 왕조에서는 통하지 않습니다. 이제는 모든 국가와 민족을 통합할 통일왕조의 이념이 필요한 시점이었습니다.

이 통일왕조의 이념은 기원전 4-3세기로 접어들 때 즉위한 3대 아쇼카왕 때 <소승불교>이념으로 정립됩니다. 아쇼카 왕은 인도전역을 통일하기 위한 노력으로 정복전쟁을 계속하였는데, 그의 정복전쟁은 잔혹하였다고 합니다. 그러나 아쇼카왕이 불법에 귀의하면서 독특한 세계제왕의 개념이 등장하게 됩니다. 특히 이 때 나타난 불교적 왕자관이 바로 <전륜성왕>사상이었는데, 이 전륜성왕 사상은 고대 인도 왕권 강화의 핵심적인 사상이었습니다.

원래 초기의 인도 도시국가에서는 <국왕>에 대하여 바라보는 관점이 여러 개였다고 합니다.

그 중 하나는 브라만교에서지지하는 입장으로 <왕권신수설>의 입장입니다. 왕권신수설이란, 국왕의 정통성이 곧 신으로부터 나왔다고 믿는 사상으로, 국왕권과 브라만의 제사권이 견고하게 결합된 입장이었습니다.

반대로, 부처와 같이 평등사상을 주장하는 입장에서는 왕권을 <사회계약설>적인 입장으로 바라보았습니다. 이 입장은 초기 씨족공동체였던 사회가 점차 규모가 커지면서 씨족구성원 전체의 합의에 의해 국가를 운영한다는 입장으로, 석가의 <공화제론>의 근본 이념이었던 입장입니다.

이 두 입장은 석가가 죽은 후 하나로 융합되는데, 그것이 바로 <세계제왕>사상입니다. 불도에서는 이 세계제왕을 <전륜성왕>이라고 합니다. 전륜성왕이란, 세계제왕으로서 왕에 오른 자는 강력한 무력을 가지고 있지만, 이 무력으로 세상을 통치하지 않는 자입니다. 전륜성왕은 도솔천에서 내려온 세계를 교화하기 위한 법왕으로, 정법(샤크라)에 의해서 세상을 통치하고, 이상적인 도덕으로 불심자들을 교화하는 법왕입니다. 즉, 불법의 내용이 왕권의 정당성과 의무를 규정하면서, 왕권을 이상적으로 만들어 버린 것이지요.

이 전륜성왕을 돕기 위하여 미륵불이 출현하여 백성을 교화한다는 하는데, 이 미륵불이 하늘에서 하생하는가, 아니면 귀족들이 미륵으로 환생하는가 등의 논의에 따라 미륵불 상생신앙, 하생신앙이 등장합니다. 쉽게 말하면, 미륵은 곧 전륜성왕을 돕기 위해 세상에 내려온 하늘의 수호자들입니다. 이 논리는 곧 왕은 전륜성왕, 귀족은 미륵불이라는 개념으로 도식화되어 이후 중국, 한국, 일본에서 왕권 강화의 논리로 이용됩니다.

전륜성왕의 개념

산스크리트 어로는 akra-vartirajan. cakravartin이라고도 씁니다. 고대 인도에서 유래한 세계의 통치자를 지칭하는 개념입니다.

산스크리트 cakra(輪)와 vartin(轉)이 합성되어 파생된 말로서 '자신의 전차바퀴를 어디로나 굴릴 수 있는' 곧 '어디로 가거나 아무런 방해를 받지 않는' 통치자를 말합니다. 전세계를 통치한다는 전륜성왕에 대한 최초의 언급은 BC 3세기 마우리아 왕조 시대에 아소카 왕의 업적을 칭송하는 경전 및 기념비에 나타납니다. 이 세기의 불교와 자이나교의 사상가들은 보편적 군주관에 정의와 도덕의 수호자라는 측면을 부각시켰습니다. 전륜성왕은 속세에서 석가모니와 같은 존엄을 지닌 존재로서 32상(相)등 석가모니와 공통되는 다수의 특성들을 소유하고 있다고 여겨집니다. 〈대비바사론 大毘婆沙論〉 등의 문헌에서는 전륜성왕에 4종을 구별하여, 금륜왕은 수미4주(須彌四洲) 곧 전세계를 통치하며, 은륜왕은 3주를, 동륜왕은 2주를, 철륜왕은 남염부주(南閻部洲) 1주를 통치한다고 기록하고 있습니다. 〈인왕경 仁王經〉 및 〈보살영락본업경 菩薩瓔珞本業經〉 등에서는 이러한 설을 더욱 발전시켜 4종의 전륜성왕을 보살의 수행 단계에 배당했으니, 곧 철륜왕은 십신위(十信位), 동륜왕은 십주위(十住位), 금륜왕은 십회향위(十廻向位)에 배당했습니다. 이러한 전륜성왕의 개념은 왕권 강화 및 호국불교사상의 고취에 결정적인 기여를 했습니다.

- 전륜성왕에 대한 다움 백과사전에서 발췌 -

실제 고대 동아시아 사회에서는 불법이 전파되면서, 이 아쇼카왕을 전륜성왕으로 인식하게 되고, 이 전륜성왕의 세계제왕 관념을 각국이 받아들어 <부족사회를 초월한 보편적 지배원리>를 체계화 시키기도 합니다.

2. 기원 후에는 대승불교가 발전하게 되다

기원후 1-4세기 인도 남부에서 성장한 쿠샨 왕조는 아쇼카왕으로 대표되는 마우리아 왕조의 <소승불교>보다 더 대중적인 <대승불교>로 나아갑니다.

특히 2세기 카니슈카왕 대에는 중국, 이란, 인도를 연결하는 통상로를 인도가 장악하여  상세와 통행세를 받기 시작하였습니다. 이러한 무역의 발달은 곧 서아시아, 동아시아로 불교가 전파되는 결정적 역할을 합니다. 이 때의 불교는 개인적인 해탈을 추구하는 과거의 소승불교가 아니라, 대중구제를 염원하는 대승불교적 성격이었습니다.

특히, 대승불교가 <사회적, 정치적> 성격까지 지니게 된 것은 당시 알렉산더 대왕의 원정으로 남은 <헬레니즘의 유산> 때문이었습니다. 이 당시 헬레니즘의 영향으로 적극적인 동서교류 및 아시아 내부의 교류가 활발해 지면서 간다라 미술이 유행하기 시작하였고, 카니슈카왕은 간다라 미술을 완성하여 동서문화의 융합을 추구하는 동시에, 이 융합된 문화를 동아시아로 적극 전파하였습니다. 이 당시가 바로 불교의 전성기였고, 동아시아 각국이 불교사상을 초보적으로 이해하기 시작한 시기였습니다.

그러나 인도편에서의 불교서술은 여기까지가 끝입니다. 왜냐면, 4세기 이후 북인도에서 인도민족 고유 왕조인 굽타왕조가 등장하면서, 다시 고대 인도 문화가 부활하기 때문입니다.

굽타왕조의 찬드라 굽타는 가장 이상적인 아리아 문화를 추구하였고, 인도 고전의 황금기로서 <힌두교>를 국교화 합니다. 이 힌두교는 브라만교의 전통을 확인하는 종교로서 철저한 바르나 제도를 추구하였고, 마누법전, 마하바라타, 라마야나와 같은 인도적 문학과 종교를 완성하므로서 점차 인도 내에서 불교가 설 자리를 잃게 됩니다.

이후 7세기 북인도의 바르다나 왕조 등이 불교 보호에 노력하였으나, 불교는 점차 힌두교에 포섭되어 소멸되었고, 13세기 이후에는 이슬람 왕조가 인도 곳곳에 성립함으로서 인도의 종교는 <힌두교 vs 이슬람교>의 구도로 바뀌게 됩니다.

이제 4세기 이후의 불교는 인도가 아니라 중국에서 찾아야 할 것 같습니다. 이제 인도 불교를 여기서 마치고, 인도 불교의 중국 전파 과정과 중국에서 불교에 대한 이해 부분을 전개해보겠습니다. 이 포스트는 매우 짧았네요.

이 글에 대한 참고사항

1. 이 글에 대한 관련 사료는 이 사이트 검색창에서 자유롭게 검색가능합니다.(관련 검색어로 검색하세요)
   2. 이 글을 가져가실 때는 반드시 댓글을 달아주시기 바랍니다.
   3. 관련 글 모음
방 : http://historia.tistory.com/category/동양사이야기/중국사이야기

<http://historia.tistory.com 역사전문블로그 히스토리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