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품제도와 6두품 관련 사료
4두품에서 백성에 이르기까지는 방의 길이와 넓이가 16자를 넘지 못하고 느릅나무를 쓰지 못하고, 수초를 그린 천정을 만들지 못하고, 중국 기와를 덮지 못 하고, 짐승 머리, 높은 처마, 공아, 현어(처마 끝에 다는 고기모양의 방울)를 설치하지 못하고, 금․은․놋쇠․구리․ 납으로 꾸미지 못하고, 층계와 섬돌은 산에서 나는 돌을 쓰지 못하고, 담장 높이는 6자를 넘지 못하고, 또한 들보를 걸지 못하고, 석회를 칠하지 못하고, 대문과 사방에 문을 만들지 못하고, 마굿간은 말 두 마리를 넣을 수 있게 하였다. <삼국사기> 잡지 제2 옥사 4두품에서 백성에 이르기까지는 금․은․놋쇠와 주리평문물(朱裏平文物)을 금하고, 또한 털을 댄 담요 모피나 호랑이 가죽, 중국 담요 등을 금하였다. <삼국사기> 잡지 제2 기용 평민의 경우 모자는 명주와 베를 쓰고. 겉옷과 바지는 베를 쓰고, 주나 베를 쓰고, 띠는 구리나 철을 쓰고, 가죽신은 주름 무늬로 된 가죽과 자색 가죽을 금하고, 가죽띠는 철과 구리로 장식하고, 신은 삼 이하를 쓰고, 베는 12승 이하를 쓴다. <삼국사기> 잡지 제2 복색 평민 여자의 경우 겉옷은 무늬 없는 베나 명주를 쓰고, 속옷은 거친 명주 또는 민무늬 명주나 베를 쓰고, 바지는 거친 명주 이하를 십고, 겉치마는 명주 이하를 쓴다. 옷고름은 무늬 있는 비단 이하를 쓰고, 띠는 무늬 있는 비단이나 명주 이하를 쓰고 버선목은 무늬가 없는 것을 쓰고 버선은 거친 명주나 민무늬 명주를 쓴다. 빗은 횐 상아와 뿔 이하를 쓰고, 비녀는 놋쇠나 돌 이하를 쓰고, 색깔은 4두품 여자와 같다. <삼국사기> 잡지 제2복색 4두품에서 백성에 이르기까지는, 말 안장은 자단․ 침향․ 회양목․홰나무․ 산뽕나무를 금하고, 또한 금․은․옥으로 꾸미는 것을 금하고, 안장 언치(안장 밑에 까는 방석)는 쇠가죽과 말가죽을 쓰고, 안장 방석은 가죽을 쓰고, 말다래는 버드나무나 대나무 를 쓰고, 재갈은 쇠를 쓰고, 등자는 나무와 쇠를 쓰고, 가슴걸이와 고들개는 쇠힘줄이나 삼 같은 것으로 잡아매게 하였다, 4두품여자로부터 백성의 여자에 이르기까지는 말 안장은 자단․침향․황양․산뽕나무를 금하고, 또한 금․은․옥으로 꾸미는 것을 금하고, 안장 언치와 안장 자리는 계수금라(털로 수를 놓은 비단)․세라(올이 가늘고 성기게 짠 비단)․릉(무늬있는 비단)․호랑이 가죽을 금하고, 재갈과 등자는 금․은․황동을 금하고, 또한 금․은으로 꾸미는 것을 금하고, 말다래는 가죽을 쓰고, 가슴걸이와 고들개는 땋은 끈과 자주색 무늬가 있는 빛나는 끈을 금하였다. <삼국사기> 잡지 제2 거기(車騎) 무열왕이 즉위하자 당나라 사자가 와서 조서를 전하였는데, 그 가운데 읽기 어려운 곳이 있었다. 왕이 강수를 불러 물으니 조서를 한번 보고 해석하는데 의심스럽거나 막힘이 없었다. ......문무왕이 말하기를, “강수는 문장으로 자기의 임무를 다하여 중국과 고구려, 백제 두 나라에 의사를 잘 전달하였기 때문에 우호를 맺는데 성공하였다. 우리 선왕 (융포:무열왕)께서 당나라에 군사를 청하여 고구려와 백제를 정복한 것은 비록 무공이라 하지만, 또한 문장의 도움도 있었으니 강수의 공을 어찌 소흘히 생각할 수 있겠는가?” 하였다. <삼국사기> 강수 신라는 당나라와 조공한 이후 항상 왕자를 보내 숙위를 시켰고, 학생을 보내 대학에 입학시켜 공부하게 하였다. 이들은 l0년을 기한으로 귀국케 하였으며, 계속 파견된 입학생이 100여 명에 이르렀다. <동사강목> 진성여왕 최치원은 당에 유학하여 깨달아 얻은 바가 많았으므로 귀국하여 이를 널리 펴 보려는 뜻을 가졌으나, 그가 귀국했을 때는 난세가 되어 모든 일이 뜻대로 되지 않으므로 스스로 때를 만나지 못함을 한탄하여 다시 벼슬에 뜻을 두지 않고 은둔하여 책속에 파묻혀 세월을 읊으며 보냈다. <사기> 최치원 |
<http://historia.tistory.com 역사전문블로그 히스토리아>
'퀴즈풀이 > 역사 사료와 데이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골품제도의 한계와 6두품 (1) | 2007.04.23 |
---|---|
신라 귀족과 농민의 생활상 (1) | 2007.04.23 |
설씨녀 열전 (1) | 2007.04.23 |
신라관련 주요 사료 (1) | 2007.04.23 |
신라인의 농업 관련 사료 (1) | 2007.04.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