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퀴즈풀이/히스토리아 역사 스토리

불교이야기 1-9장. 중국에서도 불교의 전성시대가 끝나다!

불교이야기 1-9장. 중국에서도 불교의 전성시대가 끝나다!

- 불교이야기에 대하여...

8장까지 동아시아 불교전파사로 연재하던 이야기의 제목을 <불교이야기>로 바꾸었습니다. 인도, 중국 불교 이야기가 끝나고 한국, 일본 불교 이야기를 전개하려니 제목의 뉘앙스가 별로인 듯 해서 바꾸었습니다. 앞으로의 불교이야기는 1부의 인도, 중국 이야기를 이번 포스트에서 끝내고, 한국과 일본의 불교에 대하여 글을 써볼까 합니다. 이 포스트를 사상 속 역사여행에 넣은 이유는 불교이야기 이후, 유교, 크리스트교, 이슬람교, 힌두교에 대한 이야기를 전개하고, 종교 외 사상까지 한번 다루어 보려고 합니다. 언제 끝날지는 모르지만, 틈틈이 생각날 때마다 글을 올려보겠습니다.

1. 마지막으로 중국 불교의 끝을 보며... 복습이나 할까요?

중국 불교의 전성기는 혼란기였던 위진남북조였음을 지금까지 설명하였습니다. 위진남북조의 불교는 혼란스러운 시대 상황 속에서 불교가 왕권을 위해 기여한다는 <왕즉불 사상>을 통해 발전해왔습니다.

그러나, 진정 석가의 참 뜻이 무엇인가를 밝히려는 많은 고승들은 자신만의 이론을 내놓기도 하고, 인도에 구법여행을 다녀오기도 합니다. 위진남북조가 끝나가면서 중국 불교는 <왕을 위한 불교>가 아니라 진정 불법을 위한 민중의 종교로 거듭나려는 몸짓을 계속 보여왔습니다. 그 때 마다 왕권을 <불법이 왕법에 도전할 수 없다>는 논리로 불교를 탄압합니다. 이것을 역사에서는 <폐불사건>이라고 하죠.

중국의 불교도 인도와 마찬가지로, 그 종교의 참뜻을 밝히고 중생을 구제하겠다는 큰 이념을 갖는 순간 국가에 의해 추방당하는 신세로 전락합니다. 그리고, 불교를 몰아낸 새로운 사상들은 불교 사상에서 특정한 부분을 채용한 신사상들이었습니다.

예로 인도에서 진정한 인도인의 종교를 자청한 힌두교는 브라만교의 한계점을 불교 사상으로 극복하여 만들어진 종교입니다. 물론 불교 역시 브라만교의 윤회설이나 업설을 통해 탄생한 종교라는 것도 예전에 설명했었지요. 중국의 성리학이라는 신유학 역시 중국 종래의 훈고학의 문제점을 신불교인 <선종>의 수양사상을 빌려 극복했던 종교였습니다. 자 그럼 서론을 이만하고, 중국에서 불교가 밀려는 상황을 한번 볼까요?

2. 썩은 종교에는 핏물만이 고일 뿐이다.

당나라는 전통적으로 도교를 신봉한 국가이지만, 불교 역시 존중하였습니다. 이유는 아직까지도 불교의 교리가 <왕권 강화>에 도움이 된다고 믿었기 때문이죠. 불교 교단에서는 이러한 생각이 잘못되었음을 깨닫게 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입니다. 지난 장에서 설명한 법장이 측천무후에게 불교 교리를 설명한 것도, 불교 자체를 국가에서 인정해 달라는 하나의 메시지이자 국가와 불교 교단의 타협점을 찾는 과정이었죠.

하지만, 불교가 불교의 참뜻을 추구하는 순간, 인도, 중국, 한국을 막론하고 큰 문제점이 발생하였습니다. 그것은 백성들이 내세에 의지하면서 현실을 도피하는 상황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었습니다. 또한 국가불교가 아닌 종파불교가 성립되면서 사원경제가 발달하고, 불교교단이 이익을 추구하기 시작한다는 것도 공통점입니다.

당나라 중기 이후 불교 교단의 세가 전 중국을 덮을 정도로 위세가 강해지고, 수많은 종파들이 여기저기서 생겨났습니다. 이 때부터 생각있는 유교주의자들은 유교의 위기를 생각하면서, 불교의 폐단을 비판하기 시작하였습니다. 마치, 여말선초에 신진사대부들이 불교에 대하여 신랄하게 비판했던 것과 같은 맥락으로 말이죠.

이런 생각을 처음 했던 사람은 수나라 시대의 <왕통>이라는 사람입니다. 그러나, 수나라 시대는 아직 불교교단이 정립되지 않았을 시기였습니다. 본격적으로 불교를 공격하기 시작한 사람은 당나라의 유교 선구자 <한유>입니다. 한유의 <진학해>에 나타난 생각을 한번 볼까요?

입으로는 끊임없이 육예의 문장을 읆고, 손으로는 그침없이 백가의 서적들을 뒤적였다. 낮은 물론이고 밤에도 등잔불 아래에서 쉼없이 공부하였다.

해가 가고 달이 바뀌어도 단 하루도 그치지 아니하였다. 그렇다면 내가 이처럼 부지런히 공부하는 것을 무엇 때문일까? 그것은 유학을 선양하고 불교와 노장사상을 배척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불행히도 나의 행동은 모두 도리에 합당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친구들의 찬동이나 상사의 신임을 얻지 못하였다. 내가 한번 입을 열면 다른 사람에게 죄를 짓게 되어 귀양살이를 가기 일쑤였다.

운명은 나를 종롱하여 마치 서로 양립할 수 없는 원수 같구나. 여러 차례 일에 실패하여 곤궁한 처지에 놓이게 되었으나 겨율에는 아이들이 춥다고 울어대고 풍년이 드는 해에도 처자들은 배가 고프다고 울어댄다. 나 자신은 또 늙음에 쫒기어 머리칼과 이가 빠졌으나 어니 한가지 일도 이루지 못했구나.

한유는 국가의 녹을 먹으면서도, 불교를 신봉하는 황제와 신료들을 끊임없이 질타하였습니다. 헌종 때 석가문불의 뼈 한마디가 궁내에 들어오자 사람들은 모두 그것에 제사지내기에 바빴습니다. 한유는 죽음을 각오하고 글을 적기를 <동한의 군주들이 불교를 신봉한 이후부터 모두 단명하였구나>라고 적었고, 그것을 황제에게 보냈습니다. 그는 죽을 위기를 넘기면서까지 불교에 대한 비판을 아끼지 않았습니다.

아는가. 황제와 정치를 위해서는 불교의 폐단을 없애야만 한다. 구름이 큰 봉우리를 가리고 있어 집이 어딘지도 모르겠고, 눈은 온 땅을 덮고 있어 말이 앞으로 가려하지도 않는구나. 내 조양으로 귀향을 가게 되더라도 뜻은 꺽을 수 없겠구나. 후세에 나의 말을 전하려면 책으로 남기는 수밖에 없겠구나.

한유는 불교의 잘못된 점을 말하기 위하여 많은 글을 적었습니다. 그런데, 그가 적은 글은 무슨 말인지도 모른 채 화려하기만 한 심오한 말이 아니라, 한나라 훈고학 이래 잘 쓰이지 않는 옛 글(고문)으로 글을 쓰는 일을 하였습니다. 그래서 그를 <고문부흥운동>의 선구자라고도 합니다.

이 후 그의 뜻을 이어받은 송의 인물들은 적극적인 불교 배척운동을 시작하면서, 진정한 유교를 부흥할 것에 매진하였습니다. 한유는 맹자의 성선설에서 더 나아가 인간의 본성은 상, 중, 하의 삼품으로 구성되었다는 <성삼품설>을 주장합니다.

불교에서처럼 윤회가 모든 것을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본성이 여러개이므로, 어떤 사람은 태어나면서부터 선하고, 어떤 사람은 태어나면서부터 악하며, 어떤 사람은 어떤 길로도 스스로 갈 수 있다는 논리입니다.

이후 유학자들은 불교 배척운동을 하면서도 한나라 훈고학과는 다른 사상적 체계를 만들어 갑니다. 송대 만들어진 성리학은 한나라 시기 훈고학의 <자구해설>을 넘어서서 인간의 <심성>이 무엇인가까지 연구하는데, 사실 이것은 불교의 <선종>에서 강조하는 <이심전심>의 본체와 연관되는 것이었습니다. 성리학의 인간과 우주 심성이란, 선종에서 말하는 <인간의 마음은 깨달음으로 통한다>는 것과 일맥상통하니까요.

오늘은 지난 여덟 장의 인도, 중국 불교사를 마무리하는 과정으로, 별 할말도 없는 당 중기 이후의 불교이야기를 해보았습니다. 이제 2부에서는 한국 불교사로 넘어가 보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