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장. 4대 문명이 등장하다.
자, 이제 신석기 이야기는 그만 두고 실제 '문명'이 발생했다는 문명시대 이야기를 전개해보자. 아참, 전에 이야기했던거 기억날까? 문명은 대부분 청동기 시대에 이루어졌다는거 말야.
우리가 교과서에서 열심히 외웠던 세계 4대문명도 다 청동기 시대에 형성되었지. 물론 중국인들은 황하문명이 선석기 때 부터라고 이야기하고 있고, 고대 아메리카 문명들도 신석기 때 문명을 이루었으니깐 절대적 법칙은 아니야.
선사 역사를 이야기할 때 이집트, 메소포타미아, 황하, 인더스 문명처럼 지역을 기준으로 문명을 나눠놓으면 공부하기가 편해. 각 지역별 문명을 이해하면 유럽, 서아시아, 인도, 동아시아로 전개되는 역사 과정을 쉽게 공부할 수 있거든.
하지만 문명과 문화권은 같은 말이 아니야. 문화권은 인문학이나 사회학에서 주로 쓰는 용어인데, 의식주나 생활환경 등 사람들의 공통된 생활방식으로 공동체를 구분하는 방식이야.
예를 들어 역사에서는 농경문화권, 유목문화권, 수렵문화권 등으로 나눈 방식이 대표적이지. 하지만 이 문화권의 개념은 인종이나 국가와 같은 것들을 고려하지 않아. 예를 들어 동아시아인들은 농경, 젓가락 사용, 유교와 불교 등 공통된 요소가 있기 때문에 중국인, 한국인을 구별하지 않고 동아시아 문화권이라고 부르지.
그럼 문화권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무엇일까? 고대 사회에서는 국가나 인종같은 것보다도 '환경'이 더 큰 영향을 주었다고 볼 수 있어. 보통 비슷한 기후나 자연환경에서 비슷한 생활패턴을 보이는 경우가 많고, 큰 산맥을 기준으로 삶의 방식이 나누어지는 경우가 많거든. 하지만, 가까운 역사로 올수록 인류의 지혜가 쌓이고 역사적 사건들을 경험하면서 정치, 종교, 관습 같은 것들이 문화에 큰 영향을 주게 되지.
또 하나!!! 문화권은 문명보다 먼저 성립되었다는 점이 중요해. 인류 최초의 문명이 시작되기 전부터 사람들은 어딘가에서 이미 집단으로 모여살고 있었잖아? 그리고 그 사람들은 농사를 지었던, 가축을 키웠던 그 집단의 생활패턴이 있었기 때문에 문명 이전에 '문화'는 존재했다는 것이지.
자, 그럼 지금부터 4대 문명중 하나인 메소포타미아 문명을 통해서 서아시아 지역의 역사를 먼저 한번 살펴보자.
2장. 서아시아에 도시국가들이 탄생하다.
지금으로부터 약 5500년전.... 그니깐 성경으로 따지면 하나님이 아담을 창조했다고 말한 그 시기가 500년 지난 어느 시점.... 드디어 인류 최초의 문명이라는 것이 생겼어.
그곳은 어디냐? 바로 '동부 지중해 바닷가' 근처였었지. 그 바닷가 서남쪽에는 아프리카 나일강 하구가 있었고, 그 동쪽 내륙에는 유프라테스강과 티그리스강이라는 강이 있었어. 그리고 그 사이의 지중해 연안에는 강과 바다의 영향으로 매우 기름진 땅이 존재했는데, 훗날 연구자들은 그 땅을 '기름진 초승달' 지역이라고 불렀지.
그 기름진 땅 근처 곳곳에 작은 도시들이 생겨서 작은 농경 문화권 또는 유목 문화권이 생겼는데, 그 도시들이 정착생활을 하면서 최초의 문명이라는 것이 생긴거야. 그 중 나일강 근처의 도시들이 이집트 문명이 되었고, 지중해 동부 소도시들이 유프라테스강 근처에 자리잡으면서 메소포타미아 문명으로 발전한 것이지.
이 도시 국가들이 점점 커지고, 널리 퍼지면서 약 2천년의 세월동안 발전하고 멸망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거야. 그런 과정 속에서 기원전 1천년경.... 우리가 흔히 말하는 유럽의 동쪽, 즉 서아시아(오리엔트) 전역에 다양한 문명이 존재하게 된 것이지.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156780414E6C0C9C1F)
서아시아 공부를 하다보면 이오니아해, 동지중해, 흑해, 야파, 알렉산드리아, 시라쿠사.... 이런 말 많이 나와.
게임 지도라서 정확하지는 않지만, 대신 간략하게 만들었으니 대강의 위치 파악은 할 수 있을거야.
좀더 자세히 살펴볼까?
기원전 3000년경, 나일강이나 유프라테스 강, 또는 지중해 동부 연안 주변에 사람들이 모여 살면서 작은 도시 국가들이 생겼는데, 이 도시 국가들은 각각 지역단위로만 발전했었어. 예를 들면 서아시아 유프라테스강 근처에는 '수메르'라는 동족 의식을 가진 도시 국가들이 서로 협력하면서 살고 있었지. 나일강 근처에서는 '상왕국'과 '하왕국'이라는 큰 규모의 도시 국가들이 있었는데, 일찍이 상왕국이 강 근처의 왕국들을 통일해 버렸어. 역사에서는 가장 오래된 통일왕국이라고 해서 '고왕국'이라고 부르지.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132CDA4C4E6C18AB09)
중요한 건, 이들이 강과 해안을 중심으로 뭉쳐있었다는 거야. 이집트는 나일강 근처만, 메소포타미아는 유프라테스강 근처만 교류하면서 개별적이고 독자적인 문명을 각각 이루고 있었다는 점이지. 그래서 역사에서는 이 지역의 역사 출발점이 같음에도 불구하고 이집트 문명, 메소포타미아 문명 등으로 따로 구분하고 있지.
그러기를 천년.... 시간이 흐르면서 이들 각 도시 국가들은 세력이 커지고 주변국들에게 눈을 돌리기 시작했어. 특히, 지중해 동부 연안에는 바빌로니아 왕국, 히타이트 민족, 미탄니 문명, 크레타 문명 등 다양한 도시 문명들이 등장했거든. 이들이 서로 문서도 교환하고 무역도 하면서 점차 국제 사회라는 새로운 시대로 접어들게 되지. 물론 그 와중에 서로를 점령하기 위한 정복 전쟁도 끊임없었겠지?
자... 그리고 시간을 더욱 흘러 또 천년이 지나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