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퀴즈풀이/역사 사료와 데이터

중국사에 나오는 한국사 자료들 - 삼국지 동이전 부여 편

중국사에 나오는 한국사 자료들 - 삼국지 동이전 부여 편

  부여는 장성 북쪽에 있다. 현도와의 거리가 천 리나 되는데 남쪽으로는 고구려와 접해 있고, 동쪽은 읍루와 연결되었으며, 서쪽은 선비와 인접되어 있다. 북쪽에는 약수가 있는데, 지방이 二천 리나 되고 호수는 八만이나 된다.

  그 지방 백성들은 모두 토착민들로서 궁실도 있고 창고도 있고 감옥도 있다. 산과 언덕도 많지만, 또 넓은 못도 있어 동이지방 중에서는 가장 평평한 지역이다. 땅은 오곡을 가꾸기에는 알맞아도 과실은 나지 않는다.

  사람들은 추하고 몹시 몸집이 크며, 성질은 강하고 용맹스러운 한편 근실하고 후덕한 편이다. 그래서 도둑질을 하지 않는다.

  그 나라에는 국왕이 있고, 벼슬 이름은 모두 六축의 이름을 따서 지었다. 마가, 우가, 저가, 구가가 있고, 또 견사가 있는데 이 견사란 것은 심부름꾼이다.

  부락에는 어디나 호민이 살고 있어 못 사는 백성들은 모두 그 밑에 가서 노복 노릇을 한다. 여러 가 벼슬을 한 자는 따로 네 도를 관할한다. 큰 자는 수천 호를 맡아 다스리고 작은 자는 수백 호를 맡아 다스리기도 한다.

  음식은 모두 그릇에 담아 먹고, 여럿이 모이는 때에는 서로 절하고 잔을 씻어 술을 마시며, 서로 읍하고 사양하면서 출입한다.

  은나라 정월이 되면 하늘에 제사를 지낸다. 이 때가 되면 온 나라 안이 모두 모여서 날마다 술 마시고 노래하고 춤을 춘다. 이것을 영고라고 한다. 이 때가 되면 감옥에서 형벌을 다스리지 않고 죄수들도 풀어 내보낸다.

  이 나라의 옷은 흰빛을 숭상한다. 흰 포목으로 도포를 만들어 입는데 소매가 몹시 넓고, 또 바지도 희게 입는다. 신은 가죽신을 신는다. 그러나 이들이 외국에 나갈 때에는 비단옷에 수를 놓아 입기를 좋아하고 또 털옷도 입는다. 어른들은 여우나 삵괭이, 또는 잘로 만든 갖옷을 즐겨 입는다. 또 모자에는 금은으로 장식을 한다.

  통역들이 와서 말을 전하려면 모두 꿇어 앉아서 손으로 땅을 짚고 조용한 목소리로 말한다. 그러나 형벌을 쓰는 것은 몹시 엄하고 급하다. 사람을 죽인 자는 반드시 죽이고 그 집 식구들을 데려다가 노비를 삼는다. 도둑질을 한 자는 한 사람이 도둑질한 데 열 두 사람을 벌을 주고, 남녀간에 음란한 짓을 하거나 여자가 질투한 여자를 미워해서 죽인 시체를 남쪽 산 위에 갖다 버리고 썩게 내버려 둔다. 이 시체를 여자의 친정에서 찾아 가려면 소나 말을 주어야 내주게 마련이다. 형이 죽으면 형수를 아내로 삼는다. 이 풍속은 흉노와 같다.

  이 나라에서는 짐승을 잘 기르고 이름 있는 말과 붉은 옥, 그리고 잘과 아름다운 구슬이 난다. 구슬이 큰 것은 대추만큼씩이나 하다. 활과 칼, 창으로 병기를 삼고 집집마다 갑옷과 무기가 있다.

  그 나라 늙은이들이 말하기를, 옛날 도망 온 사람들이 성책을 모두 둥글게 만들어 마치 감옥과 같았다. 이 속에서 밤낮 없이 사람들이 길에 다니면서 노유가 모두 노래하여 종일토록 소리가 끊기지 않는다. 군사의 일이 있으면 역시 하늘에 제사를 지내는데 이 때 소를 잡아 그 발을 보고 길하고 흉한 것을 점친다. 즉 발가락이 째졌으면 흉하고 합쳐져 있으면 길하다는 것이다.

  만일 적병이 쳐들어왔을 때는 모든 가 벼슬에 있는 사람들이 나서서 싸우고 그 밑에서 사는 보통 백성들은 모두 양식을 져 날라 군사들을 먹인다.

  사람이 여름에 죽으면 모두 얼음을 채워 두고 또 사람을 죽여 순장한다. 이 순장하는데 있어 사람을 많이 죽일 때는 백여 명까지 죽인다. 그리고 장례를 후하게 지내는 사람은 관은 있어도 곽은 없다.

  위략에 보면, 이 지방 풍속은 사람이 죽으면 시체를 다섯 달 동안 집에 두는데 오래둘수록 좋은 것으로 여긴다. 죽은 사람을 제사 지내는 데는 음식을 날것으로도 작만하고 익힌 것으로도 한다. 상주 된 사람은 되도록 장례를 빨리 지내려 하지 않지만 타인들이 억지로 지내게 한다. 거상하는 데는 남녀가 모두 흰 옷을 입고 여자는 목걸이나 패물을 떼 놓는다. 이런 풍속은 대체로 중국과 방불하다.

  이 부여는 원래 현도에 소속되어 있었다. 한나라 말년에 와서 공손도가 바다 동쪽지방에 세력을 펴게 되자 바깥 오랑캐들을 위엄으로 복종시켰다. 이리하여 부여왕 울구태는 다시 요동에 소속되었다.

  이 때는 구려와 선비가 강성했다. 그런데 부여는 이 두 오랑캐 틈에 끼어 있다고 해서 울구태는 왕녀로 아내를 삼았다.

  울구태가 죽자 간위거가 왕위에 섰다. 그러나 위거에게는 적자가 없고 첩의 아들 마여만이 있었다. 위거가 죽자 모든 가들이 함께 마여를 세워 왕을 삼았다. 우가의 형의 아들이 있는데 그의 이름도 위거였다. 이 사람으로 견사를 삼았다.

  위거는 재물을 가볍게 여기고 남에게 은혜를 잘 베푸니 온 나라 사람들이 모두 따랐다. 이리하여 위거는 해마다 사신을 보내어 서울에 와서 공물을 바쳤다.

  정시년중에 유주자사 무구검이 구려를 칠 때 현도태수 왕흔을 부여에 보내서 왕께 뵈었다. 이 때 위거는 견가를 시켜 들에 나가서 그 군사를 맞게 하고 군량을 공급해 주었다. 그러나 이 때 위거의 계부 우가는 딴 마음이 있었다. 이것을 알고 위거는 계부의 부자를 죽이고 그들의 재산을 몰수하여 사신을 시켜 염송관에게 주었다.

  이 지음 부여는 장마 지고 가물기가 일쑤여서 오곡이 잘 익지 않았다. 그래서 그 죄를 왕에게로 돌려 혹은 바꿔야 한다는 자도 있고 또는 죽여야 한다는 자도 있었다.

  마여가 죽자 그 아들 의려는 나이 겨우 六세였다. 이 의려를 세워서 왕을 삼았다. 이 때 한나라에서는 부여왕이 죽으면 그 장사에 옥갑을 쓰도록 하여 언제나 미리 이것을 현도군에 보내 두었다가 왕이 죽으면 갖다 쓰도록 했다. 공손연이 베임을 받았을 때도 현도군 창고에는 옥갑 한 벌이 남아 있었다. 그리고 지금 부여의 창고에도 옥벽과 규찬 등 여러 대 장사에 쓸 물건이 남아 있어서 이것을 대를 전해 가면서 보배로 삼고 있다.

  늙은이들은 말하기를, 이것은 선대 때에 하사한 물건이라 한다.

  그 나라에서 쓴 도장은 예왕의 도장이라 하며, 나라에 있는 옛 성은 이름을 예성이라고 한다 하니 이곳은 대개 근본 예맥 땅이다. 그런데 부여가 그 나라 가운데 들어가 왕노릇을 하고 자칭 도망 왔다고 했으니 있을 수 있는 일이다.

  위략에 보면 이런 말이 있다.

  옛날 북쪽 지방에 고리라는 나라가 있었다. 그 나라 왕의 종이 태기가 있으므로 왕은 종을 죽이려 했다. 그러나 종은 말하기를, 하늘에서 계란 같은 것이 내려와 소인의 입으로 들어가더니 태기가 있기 시작하더라고 한다.

  十삭이 되어 자식을 낳자 왕은 이것을 돼지우리에 버렸다. 그랬더니 돼지는 입김으로 어린아이 몸을 녹여 주어 죽지 않게 한다. 왕은 속으로 생각하기를, 이 아이는 보통 아이가 아니로구나. 크면 반드시 천자가 될 위인이로다 하고 아이를 거두어다가 그 어미를 시켜 양육하게 했다.

  이 아이의 이름은 동명이다. 왕은 그에게 말 먹이는 일을 맡겼다. 그러나 동명은 활을 몹시 잘 쏜다. 왕은 그가 자기 나라를 빼앗을까 걱정하여 죽이려 했다. 이에 동명은 도망하여 남쪽 시엄수라는 큰 강에 당도했다. 배가 없어 강ㅇ르 건널 수가 없다. 동명이 활 등으로 강물을 한 번 치자 물 속에서 물고기와 자라떼가 나와 다리를 놓아 준다. 그러나 동명이 이 다리를 건너 저편으로 도망하자 물고기와 자라떼는 물 속으로 흩어져 버린다. 동명을 쫓아오던 군사들은 그를 따라갈 수가 없었다. 이리하여 동명은 부여 땅에 도읍을 정하고 왕노릇을 했다는 것이다.(三國志)

이 글에 대한 참조사항

1. 이 글에 대한 관련 사료는 이 사이트 검색창에서 자유롭게 검색가능합니다.(관련 검색어로 검색하세요)
   2. 이 글을 운영자 허락없이 불펌할 경우 티스토리에서 제공하는 <원저작자 로고>가 펌글에 자동 삽입됩니다.

 <http://historia.tistory.com 역사전문블로그 히스토리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