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 지배층 - 진골과 성골
1. 진골이란? 신라가 중앙집권화되는 과정에서 족장세력으로 영역을 가지고 있던 <간> 세력을 체제에 끌어들이면서 <골>이라는 새로운 계급이 성립하였습니다. 이들 <골>은 신라의 지배집단으로서의 우월성을 가지고 있는 집단이었습니다. 그러나 신라 사회가 초기의 소국을 벗어나 체제 정비를 하는 지증-법흥-진흥왕기를 거치면서, 지배층의 변화를 가져오게 됩니다. 가야계 귀족들이 신라에 유입되었고, 진흥왕의 영토확장으로 북방계 귀족들도 신라체제에 흡수됩니다. 그리고, 삼국통일기에 이르면, <골>족의 증가로 인하여 골족들의 특별한 표지가 필요하게 되었을 것입니다. 이 시기에 내물 마립간계 후손들은 자신들의 혈통을 다른 지배집단과 구분하고, 자신들의 정치적 위치를 격상시킬 필요성이 있었습니다. 즉, 차별화된 지배집단을 형성하여 우월성을 과시하는 것이 필요했던 것입니다. 이들은 자신들을 <골>족 중의 진정한 <골>로 여기게 되었고, 이것이 신라시대 <진골>집단이 탄생하게 된 것입니다. 따라서 진골이라는 개념은 신라가 성장하는 6c 무렵부터 등장하는 개념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진골은 국왕의 후원 아래 체제 속에서 요직을 독점하였으며, 왕권과 밀접한 관계를 가전 혈연성을 내세워 특권세력으로 격상합니다. 그리고, 초기 박씨, 석씨 골족 중의 일부도 진골에 포함시킴으로서 다른 계층의 골족이 성장하는 것을 막기 시작합니다. 법흥왕 대 17관등으로 관등 및 골품제를 정비하고, 율령반포, 불교수용 등 일련의 사회적 변화를 주도한 것도 국왕권과 그에 밀착한 진골세력을 강화시키기 위한 일련의 조치라는 관점에서 볼 수도 있습니다. 2. 성골의 등장은? 진골 계급은 국왕과의 밀착성을 주장하면서, 국왕권이 신성함을 강조하였습니다. 국왕권이 신성하다는 것은, 국왕과 혈통적으로 가까운 골족인 진골의 우월성도 같이 강조됨을 의미합니다. 그리고, 진골 중에서 국왕이 될 수 있는 왕위 계승권자들은 하늘이 내린 성스러움을 가진 <성골>로 미화하기도 합니다. 거칠부의 국사를 보면, 신라왕을 모두 성골로 규정했다고 합니다. 그리고 신라의 모든 왕들은 성골이 왕으로 즉위했다고 합니다. 그것으로 보아 성골이란, 어떤 특수한 신분계급이 아니라 왕이 될 수 있는 후계자를 뜻하는 것이라고 합니다. 즉, 성골이라는 것은 왕위계승과 관련된 개념이므로, 단순히 혈연집단을 뜻하는 진골보다 더욱 <유동적>인 개념입니다. 일단 성골이 될 수 있는 기준을 볼까요? 먼저 현왕의 장자가 성골이 될 수 있겠네요. 다음 왕위계승자니까요. 즉, 왕위계승과 관련있는 순위의 적자, 손자 등은 모두 성골이라고 부를 수 있을 것입니다. 현재 국왕은 당연히 성골입니다. 그 왕자들도 왕위 계승의 후보들이므로 성골입니다. 만약 왕이 자식이 없다면, 왕의 동생이 왕위를 계승하므로 이때의 왕의 동생은 성골입니다. 만약, 왕과 왕의 동생이 모두 죽었다면, 왕의 동생의 아들이 성골이 되겠네요. 이것은 신으로부터 물려받은 성스러운 왕위계승자는 특수한 <혈통>에서만 가능하다는 직조관념에서 비릇된 것입니다. 따라서 성골이란 신성함으로 엮인 왕위계승순서에 따라 자격자로서의 조건을 갖출 경우에 해당되는 개념인 것이지요. 그런데, 만약 왕의 동생의 아들이 왕위계승을 한 경우가 있다면, 이 경우 <왕의 동생>은 자신의 아들이 왕에 올랐으므로, 자동으로 왕의 아버지로서 성골 자격이 생깁니다. 그는 왕을 한 적오 없이 성골이 되었는데 이런 경우에 그 왕의 아버지를 <갈문왕>이라고 하여 성골 왕의 대우를 해줍니다. 그러나 신라 시기 진평왕 이후 이 계승원칙을 지킬 성골 남자가 없었습니다. 그래서 어쩔 수 없이 성골계승원칙상 여자들이 왕위를 계승하게 되는데, 이 여왕이 바로 선덕여왕과 진덕여왕입니다. 그리고 선덕여왕과 진덕여왕을 마지막으로 신라에서는 성골의 관념이 약해집니다. 결국, 신라가 통일하면서 사회체제가 바뀌어가자 <진골>에서도 왕위를 계승하게 되었고, 진골로서 최초의 왕이 된 자가 삼국통일의 공신 김춘추(태종 무열왕)입니다. 선덕여왕기의 일을 보아, 성골이란 선덕여왕 즉위집단과 관련되어 있다고 보는 설도 있습니다. 3. 진골의 분열 6c 이후 진골과 성골이라는 개념이 확립되자 진골들은 자신의 추종자들에게 6등급 아찬까지 진급할 수 있는 권리를 주었고, 이 진골들의 조치로 새롭게 높은 관직에 오른 계층이 바로 <6두품>이라는 새로운 계층이었습니다. 원래 5두품까지밖에 없던 신라사회에 6두품의 출현은 새로운 사회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이었습니다. 특히 <6관등 아찬>이라는 하위직은 6두품에게 넘기고, 진골들은 5관등 대아찬 이상을 독식함으로서 신라사회가 좀더 개방적이 되었습니다. 즉, 두품이라는 것이 10등급 이하 최하위 관직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두품은 능력에 따라 승진하면서 관등에 의해 두품이 결정되는 능력주의 사회로 전환된 것입니다. 단, 여기서의 한계점은 그 능력이 6관등에 한정되었기 때문에, 6두품들은 더 높은 곳으로 올라가려고 발버둥치기 시작한다는 점이죠. 그러나, 신라사회는 6등급 이상은 인정하지 않았고, 설계두나 최치원의 예에서 보여지듯 신라의 6두품들은 중국 당나라의 빈공과를 통해 출세하려고 신라사회를 떠나기도 합니다. 8c 이후 신라사회는 진골의 분열 현상이 심해집니다. 삼국통일 후 신라사회는 전제왕권이 확립되면서 진골중심체제가 아주 견고해졌습니다. 그러나, 일부 진골층은 왕과의 근친혼 등을 통해 성장한 반면, 일부의 진골들은 족적 강등을 당하기 시작합니다. 그 이유는 진골의 수가 많아 지면서 더 이상 진골이라는 계층이 특권층이 되지 못할 수도 있다는 위기감에서였습니다. 따라서 진골은 왕과 가까운 1골, 왕실과 멀어진 2골로 분화됩니다. 1골은 이전 진골의 특권을 물려받아 특권층으로 군림하였습니다. 그러나 2골은 왕실과 혈연관계가 멀어지면서 관료화되어 버린 계급이 됩니다. 또 6두품 중에서는 제 1골과 밀착하여 왕위쟁탈전이나 군공을 세워 2골로 올라간 계급이 생기기 시작합니다. 6두품이 5품이상의 관리로 올라갔다는 것은 전에 설명한 <아찬 중위제>가 붕괴되었다는 것과 같은 뜻입니다. 이로서, 2골은 진골과 6두품이 혼재한 새로운 계급으로 신라사회에 새롭게 형성되는데, 이러한 새로운 계급을 역사에서는 <득난>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결국 8c 이후 신라가 말기로 갈수록 골품제도는 원래의 이념을 지키지 못하고 구제도의 모순이 되어 신라사회의 발목을 잡는 제도로 변질되고 있음을 알수 있습니다. 실제 신라가 망하는 원인 중 가장 큰 원인을 <골품제의 모순>에서 찾곤 합니다. 4. 대등의 분열 신라사회가 1골, 1골로 분열된 8c 이후 골족은 또 한번 분열합니다. 그것은 바로 상대등이었던 김양상이 왕이 되어 버린 사건 때문입니다. 원성왕 김양상은 원래 왕위계승후보였던 골족이 강릉에 머물다가 홍수로 인해 왕위계승에 참석하지 못한 틈을 타 상대등인 자신이 왕위에 올랐습니다. 이를 역사에서는 <원성왕계>라고 합니다. 이로서 신라 진골들은 상대등이라는 자리를 무시하지 못하게 되었습니다. 원성왕 이후, 다음 왕인 김경신 역시 상대등으로서 왕위에 오르게 됩니다. 즉, 신라사회는 이로서 상대등계가 하나의 세력을 이루게 되었고, 진골 귀족 역시 왕의 직계와 상대등계로 나뉘게 되었습니다. 이것이 진골의 마지막 분열입니다. 여기서 말하는 상대등이란, 원래 <등>에서 나온 말입니다. <등>이란 원래 족장 세력이었다가, 왕권에 복속되어 관직에 머물던 하급 관리를 말합니다. 이 중 국왕의 직속관리로서 세력을 갖춘 자를 <대등>이라 하며, 이 대등은 하급관리인 <대사>와 비교되는 말이었습니다. 신라 법흥왕 대에는 국왕의 업무를 총괄하는 관리로서 <상대등>이라는 고위직 관리도 등장하게 됩니다. 대등은 실제 고위 관리로서 진골과 같은 대우를 받았는데, 신라 후기에는 1골과 2골이 분화하자 2골은 전문관료직을 담당하였기 때문에 대부분 <대등>이었습니다. 그리고 대등으로서 전문 관료군을 형성한 2골군을 골족, 품족 따지지 않고 <득난>이라고 했습니다. 이 대등 중에서 상대등 세력은 실제 왕과 직계 혈연 관계를 가진 관료였고, 왕위계승에도 적극 개입하는 새로운 세력으로서 신라 후기에 활약했던 것입니다. |
이 글에 대한 참조사항
1. 이 글에 대한 관련 사료는 이 사이트 검색창에서 자유롭게 검색가능합니다.(관련 검색어로 검색하세요)
2. 이 글에 내용은 사이트 내의 관련 사료들을 참조해서 적었으므로,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들은 원 사료를 검색하세요.
<http://historia.tistory.com 역사전문블로그 히스토리아>
'퀴즈풀이 > 히스토리아 역사 스토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국시대를 통일한 조조, 조비 부자의 <위> 나라 (7) | 2007.03.22 |
---|---|
역사연구에 있어서의 사료 비판 (8) | 2007.03.22 |
우리가 완전히 잘못알고 있었던 고대 식읍과 녹읍의 개념 정리 (3) | 2007.03.20 |
유럽의 오만 : 중세 유럽사를 유럽인 스스로 <암흑기>로 만든 이유는 무엇일까? (0) | 2007.03.20 |
유럽 각국사 : 중세봉건왕정의 발전 개요 (3) | 2007.03.20 |